친일 작가 논란에…100원 동전 이순신 장군 ‘얼굴’ 바뀌나

친일 작가 논란에…100원 동전 이순신 장군 ‘얼굴’ 바뀌나

김승훈 기자
입력 2020-11-10 15:56
업데이트 2020-11-10 16: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표준영정 그린 화백 줄줄이 친일 인사로 분류
한국은행, 표준영정 지정해제 땐 도안 변경

100원 동전 속 이순신 장군 바뀌나?
100원 동전 속 이순신 장군 바뀌나? 10일 중구 한국은행 화폐박물관에 전시된 화폐 위에 놓인 100원짜리 동전.현용 화폐 중 100원화(이순신), 5천원권(율곡 이이), 1만원권(세종대왕), 5만원권(신사임당)에 사용된 표준영정 작가가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분류됐다. 이순신 영정은 장우성 화백이, 이이와 신사임당 영정은 김은호 화백이, 세종대왕 영정은 김기창 화백이 그렸다. 한은은 표준영정 지정이 해제되면 화폐 도안 변경을 검토할 계획이다. 가장 먼저 겉면이 바뀔 것으로 보이는 것은 100원 동전이다.100원화 표준영정은 현충사관리소에서 지정 해제를 신청해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심의 중이다. 5천원권, 1만원권, 5만원권 지폐는 현재 표준영정 지정 해제 신청이 접수되지 않았다. 2020.11.10 연합뉴스
이순신, 율곡 이이, 세종대왕, 신사임당…. 화폐 속 위인 영정이 새 그림으로 바뀔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화폐 공공성을 감안해 정부 표준영정을 화폐 도안으로 사용해 왔는데, 충무공 이순신 장군 등 화폐 영정을 그린 작가들의 친일 행적 때문에 표준영정 지정이 해제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은은 “화폐 도안의 위인 초상에 대한 정부의 표준영정 지정이 해제되면 도안 변경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10일 밝혔다.

화폐 가운데 100원화(이순신), 5000원권(율곡 이이), 1만원권(세종대왕), 5만원권(신사임당) 속 정부 표준영정 작가는 2009년 대통령 직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로부터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분류됐다. 이순신 영정은 장우성 화백이, 이이와 신사임당 영정은 김은호 화백이, 세종대왕 영정은 김기창 화백이 그렸다.

표준영정은 한국 역사 속 인물 중 민족적으로 추앙받는 위인들의 영정 난립을 막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정한 영정을 말한다. 한국 화폐 초상은 표준영정을 사용하고 있다. 1호 표준영정은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다.

100원짜리 동전이 가장 먼전 바뀔 공산이 크다. 100원 표준영정은 현충사관리소에서 지정 해제를 신청, 문화체육관광부 영정동상심의위원회에서 해제를 심의하고 있는데, 조만간 결론이 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장우성 화백의 충무공 영정은 1983년 100원짜리에 새겨진 이후 지금까지 활용되고 있다. 한은은 “충무공 영정의 표준영정 지정 해제 여부가 우선적으로 결론이 나기에 바꾸게 되면 100원짜리 모습이 먼저 달라질 것”이라며 “100원짜리는 현재 동전들을 녹여서 새로 만들면 되기 때문에 크기나 재질을 바꾸지 않는 이상 교체에 큰돈이 들어가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5000원권, 1만원권, 5만원권 등 지폐는 현재 표준영정 지정 해제 신청이 접수되지 않아 정해진 건 없다. 다만, 박양우 문체부 장관은 지난달 국정감사에서 충무공 영정 외에 나머지 친일 논란이 있는 화가가 그린 영정 13위를 소유주 신청 없이도 문체부가 지정 해제할 수 있을지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은은 “친일 화가 영정이 사용된 은행권도 표준영정 지정이 해제되면 대응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했다. 3종의 지폐를 바꾸는 데는 약 4700억원이 들 것으로 추산된다. 화폐 속 도안을 바꿀 땐 동일 인물 표준영정이 제작될 때까지 기다릴지, 다른 인물이나 비(非)인물로 바꿀지도 결정해야 한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