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물가·금리 오르면 시장 발작 위험”

기재부 “물가·금리 오르면 시장 발작 위험”

나상현 기자
입력 2021-04-20 20:50
업데이트 2021-04-21 02: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억원 1차관 거시경제금융회의 주재
글로벌 경제회복에 인플레 우려 커져
경기 회복 더딘 신흥국 불균형도 요인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이 글로벌 금융시장을 놓고 “물가와 금리 상승에 대한 우려가 크게 불거질 경우 시장이 발작적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20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하며 “최근 국내외 금융시장은 안정을 되찾는 모습이지만, 향후 변동성이 확대될 리스크가 상존하는 상황”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이 차관은 “세계 경제는 백신 보급과 미국 등 주요국의 추가 경기부양책 등에 힘입어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상품 교역은 이미 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해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은 경제 회복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 확대, 미국 국채금리 상승 등으로 변동성이 일시적으로 확대됐으나, 최근 들어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완화 기조 재확인, 인플레이션 경계감 완화 등에 힘입어 안정을 되찾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이 차관은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리스크가 상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우선 글로벌 금융시장이 오랫동안 저물가와 저금리 기조에 적응했기 때문에 물가와 금리가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 시장이 발작적인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또 선진국에 비해 신흥국의 경기회복이 더뎌지는 불균등 회복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도 우려 요인으로 꼽았다. 신흥국으로부터의 자금유출 압력이 확대되면 금융시장에 부정적 여파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차관은 “미중 갈등, 중동 지역 긴장 고조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가져올 수 있는 충격에 대해서도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세종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2021-04-21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