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 서프라이즈’에 고무된 정부, 외국과 비교하며 ‘셀프홍보’

‘GDP 서프라이즈’에 고무된 정부, 외국과 비교하며 ‘셀프홍보’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21-04-27 11:38
업데이트 2021-04-27 11: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재부, 공식자료 내고 경제회복 ‘선전’
홍남기 직무대행도 페북에서 4가지 의미 분석
일각선 “체감경기 나쁜 데 자화자찬”

홍남기 국무총리 직무대행 겸 경제부총리. 서울신문DB
홍남기 국무총리 직무대행 겸 경제부총리.
서울신문DB
“올해 1분기(1~3월) 경제성장률은 국제기구나 글로벌 투자은행(IB) 전망치를 훨씬 뛰어넘은 실적입니다. 경제규모 10위권 내 선진국 중 회복속도가 가장 빠른 모습입니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분기 성장률이 예상보다 높게 나오자 정부도 한껏 고무됐다. 기획재정부는 공식자료를 통해 타 기관 전망치와 실제 성장률을 소개하고, 다른 국가와도 비교하는 등 ‘셀프 홍보’에 나섰다. 홍남기 국무총리 직무대행 겸 경제부총리도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기재부 자료를 직접 첨부한 뒤 “우리 경제의 빠른 회복이 가시화되고 있고, 회복력도 비교적 탄탄하다는 게 입증됐다”고 선전했다.

이날 기재부가 낸 ‘2021년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 특징 및 평가’ 자료를 보면, 1분기 성장률(전분기 대비 1.6%)은 국제기구와 글로벌 IB가 전망한 0%대 후반에서 1%를 훨씬 뛰어넘는 수치다. 특히 비교 대상인 지난해 4분기 성장률(1.2%)이 높아 조정요인이 있었음에도 시장 전망을 크게 웃돌았다고 기재부는 선전했다.

기재부는 또 세계 10대 경제대국(한국 10위)의 2019년 4분기와 올해 1분기 GDP를 비교한 수치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한국은 올해 1분기 GDP가 2019년 4분기보다 0.4% 늘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다. 10대 경제대국 중 중국(6.9%)과 인도(2.5%)만이 코로나19 이전보다 나아졌는데, 둘은 경제성장 속도가 가파른 신흥국이다. 미국과 일본, 독일, 영국 등 선진국만 놓고 봤을 땐 한국이 유일하다는 게 기재부의 설명이다.

기재부는 1분기엔 내수와 투자·수출, 재정 모두 플러스 성장에 기여했다며 가계·기업·정부가 ‘3박자’를 이뤄 거둔 성과라고 자평했다. 이어 “이달 국내 경기회복 흐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할 때 올해 우리 경제는 당초 예상(정부 전망치 3.2%)을 상회하는 성장경로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며 “우리 경제는 코로나 위기로부터 가장 빠르고 강하게 회복하는 선도그룹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장밋빛 전망을 냈다.

홍 직무대행 역시 페북에서 1분기 성장률은 주목할 만한 네 가지 의미가 있다고 분석했다. ①회복속도가 시장 예상보다 더 빠르고 가파르다 ②수출 중심의 ‘외끌이 회복’을 넘어 내수-수출의 ‘쌍끌이 회복’을 했다 ③코로나19 위기 직전 수준을 넘어섰는데, 2분기를 회복시점으로 잡은 시장 전망보다 한 분기 빨랐다 ④경제규모 10위권 내 선진국 8개국 중에서 유일하게 1분기에 위기직전 수준을 회복했다는 것이다.

일각에선 체감경기가 여전히 좋지 않은 상황에서 정부가 지나치게 ‘자화자찬’하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이를 의식한 듯 홍 직무대행도 “낭보에도 불구하고 마음 한편으로는 무거움도 느낀다. 코로나 위기로 어려움이 큰 소상공인, 자영업자, 중소기업의 힘듦과 고용충격에 따른 청년, 여성 등 취약계층의 민생 어려움이 늘 가슴을 채우고 있다”며 “국민·기업과 함께 정부가 힘을 모아 위기 극복, 경제 회복·반등, 양극화 완화 등을 위해 전력투구하겠다”고 밝혔다.

세종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