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어가 10명 중 4명은 고령층…전체인구의 2.75배 수준

농림어가 10명 중 4명은 고령층…전체인구의 2.75배 수준

나상현 기자
입력 2021-04-27 17:59
업데이트 2021-04-27 17: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계청 ‘2020년 농림어업총조사 결과’ 발표

우리나라 농림어가 인구 10명 중 4명이 65세 이상 고령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과 비교해 고령화 정도는 더욱 심화됐다.
농림어가 고령인구 및 경영주 평균연령. 통계청 제공.
농림어가 고령인구 및 경영주 평균연령. 통계청 제공.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농림어업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일 기준으로 농림어가는 모두 118만 1000가구로, 2015년 대비 4.5% 줄었다. 구체적으로 농가는 103만 6000가구, 어가는 4만 6000가구, 임가는 9만 8000가구로 나타났다. 전체 가구에 대한 농림어가 비중은 6.5%에서 5.8%로 0.7%포인트 감소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고령화, 산업단지·택지 조성, 도시이주와 업종전환, 어선감척 등 농림어업 구조변화 등이 원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농림어가 고령화 현상도 점차 심화되고 있었다. 농림어가 고령인구 비중은 42.1%로, 2015년(37.8%)보다 4.3%포인트 높아졌다. 전체 인구(15.7%)보다 2.75배 높은 수준이다. 농림어가 경영주 평균 연령도 2015년에 비해 1.1세 증가한 65.9세를 기록했다.

고령인구 비중은 어가(36.2%)보다 농가(42.5%)가 더 높은 수준. 다만 2015년 대비 2019년 고령화 속도는 어가(5.7%포인트)가 농가(4.1%포인트)가 빨랐다.

소위 ‘도시농부’는 이전보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읍면 지역 농림어가는 직전 조사 대비 11.9% 감소했다. 반면 동 지역 농림어가는 23.5% 늘었다. 농가 중에선 특별시·광역시에서 35.8% 증가했으나, 그 외 지역에선 8.1% 줄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도시에 살면서 토지를 보유하고 농사를 짓는 도시농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세종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