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박 가격 40% 상승 실화?…생산자물가 9개월 연속 올라

수박 가격 40% 상승 실화?…생산자물가 9개월 연속 올라

송수연 기자
송수연 기자
입력 2021-08-20 10:31
업데이트 2021-08-20 1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폭염으로 농산물값이 뛰고 원자재 가격도 상승하면서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9개월째 올랐다. 소비자물가에도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어 인플레이션 압력도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2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7월 생산자물가지수는 6월(109.22)보다 0.7% 높은 110.02(2015년 수준 100)로 집계됐다. 지난해 11월부터 9개월째 상승세다. 1년 전인 지난해 7월과 비교하면 상승률은 7.1%에 이르렀다. 지난해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기저효과’까지 반영된 결과지만 2011년 6월(7.2%) 이후 10년 1개월 내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생산자물가지수는 국내생산자가 내수시장에 공급하는 상품 및 서비스 가격의 변동을 종합한 지수다. 약 한 달 후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친다.

품목표 등락률을 보면 전월 대비 기준으로 폭염의 영향으로 농림수산품 물가가 전월대비 1.5% 올랐다. 농산물과 축산물 가격이 각각 2.4%씩 상승한 영향이다. 시금치가 76%, 수박이 40.1% 급등했다. 닭고기도 18.4% 올랐다.

공산품은 유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으로 석탄·석유제품(5.1%), 제1차금속제품(1.6%) 중심으로 1.0% 상승했다. 디램 가격이 8.7% 올랐고 휘발유는 8.2% 상승했다.

전력, 가스, 수도·폐기물은 가스, 증기 및 온수(2.3%)가 올라 0.7% 상승했다. 서비스업 물가는 0.4% 상승했다. 운송(1.0%), 음식·수박(0.6%) 관련 물가가 상승을 주도했다.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공급물가지수 역시 전월 대비 1.8% 높아졌다. 특히 원재료 물가가 8.2%나 뛰었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7월 총산출물가지수도 6월보다 1.4% 상승했다.
송수연 기자 songsy@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