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가는 한국 제조업

늙어가는 한국 제조업

한재희 기자
입력 2021-08-23 20:42
업데이트 2021-08-24 06: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0대 이상 근로자 10년 새 2배 증가
고령화 속도도 美보다 11.3배 빨라

2010, 2020년 제조업 근로자 연령대별 비중·연령별 비중 증감폭. 한경연 제공
2010, 2020년 제조업 근로자 연령대별 비중·연령별 비중 증감폭. 한경연 제공
최근 10년간 한국 제조 인력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돼 제조업의 성장 잠재력이 급격히 악화할 수 있다는 조사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 10년간 우리나라 제조업 근로자 고령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 50대 이상 제조업 근로자 비중이 2010년 15.7%에서 2020년 30.1%로 14.4% 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같은 기간 30대 비중은 35.1%에서 27.8%로 7.3% 포인트 감소했다. 15~29세 비중도 21.6%에서 15.2%로 6.4% 포인트 줄었고, 40대도 27.7%에서 26.9%로 0.8% 포인트 감소했다. 전 연령대에서 50대 이상의 비중만 늘어난 것이다.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은 2011년 39.2세에서 2020년 42.5세로 3.3세 올랐다. 일본은 41.6세에서 42.8세로 1.2세, 미국은 44.1세에서 44.4세로 0.3세 상승한 것에 비해 고령화 속도가 빠르다. 연평균으로 따지면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은 0.9% 올라 미국(0.08%)보다 11.3배, 일본(0.32%)보다 2.8배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됐다.

이런 추세가 계속되면 2026년부터 한국의 제조업 노동자 평균연령(44.9세)이 미국(44.6세)과 일본(43.6세)을 모두 넘어설 전망이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21-08-24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