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일용직 일자리’ 통계 집계 이후 최저…건설경기 부진에 일용직부터 ‘고용 한파’

[단독] ‘일용직 일자리’ 통계 집계 이후 최저…건설경기 부진에 일용직부터 ‘고용 한파’

곽소영 기자
곽소영 기자
입력 2024-01-15 18:54
수정 2024-01-15 18: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체 근로자 중 일용직 근로자 비중 3.7% 역대 최저
건설업서 직격타…건설분야 일용직 근로자 50만 명
건설경기 부진·일용직 감소 등 추세 맞물려
건설투자 주요 지표 악화에 올해 고용도 ‘깜깜’

이미지 확대
최근 5년 간 일용직 근로자 추이
최근 5년 간 일용직 근로자 추이
경기침체 여파 속에 지난해 전체 근로자 중 일용직 근로자는 104만 2000명(전체 근로자의 3.7%)에 불과했다. 숫자로는 1970년 이후 최저치였고, 비중으로는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1963년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일명 ‘노가다’로 불리는 건설업 일용직 근로자 수는 50만 3000명에 그쳤는데, 이는 2014년 이후 가장 적었다.

15일 서울신문이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고용시장 한파는 이처럼 일용직 근로자들에게 유독 혹독했다. 특히 건설업 일용직이 직격탄을 맞은 것은 부동산 시장 위축과 고금리 여파로 건설 수주와 착공 모두 부진했던 영향이 크다.

임경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일용직 근로자는 (건축물을 시공하는) 종합건설 분야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은데 부동산 경기 부진이 전체 건설업 일용직 근로자 감소로 이어진 것”이라며 “지난해 7~8월 집중호우로 공사 중단 기간이 길어졌던 점도 취업자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일용직 근로자 축소는 산업구조 고도화 추세와도 맞물려 있다. 지난해 일용직 근로자는 1970년 101만 8000명 이후 최저치인데, 당시는 한국 경제 발전 초기 단계였다. 전체 근로자 961만 7000명 중에 일용직이 10.6%에 달했다.

문제는 올해도 태영건설을 비롯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태 등 여파로 건설경기 부진이 예상된다는 점이다. 지난해 3분기 건설 수주는 전년동기 대비 26.0%, 건설 허가는 25.9%, 착공은 40.4% 급감하는 등 선행지표가 모두 후퇴했다. 기획재정부도 올해 경제정책방향에서 “수출을 중심으로 회복세가 확대되겠으나 건설경기 부진이 전망된다”고 예측했다.

통상 건설경기가 시차를 두고 고용에 반영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아직 건설업 취업자가 바닥을 찍지 않았다는 우려도 나온다. 기재부 관계자는 “건설투자의 선행지표가 아무래도 좋지 않기 때문에 건설업 고용 측면에 (앞으로 더 나쁜)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