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TV 오래보면 두통·근시 생긴다

3D TV 오래보면 두통·근시 생긴다

입력 2010-12-28 00:00
업데이트 2010-12-28 11: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D TV가 기존 2D TV에 비해 눈의 피로도를 높이고,두통과 근시 증상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대 구로병원 안과 송종석 교수는 일반인 14명을 대상으로 2D와 3D TV를 각기 다른 날,동일한 시간대에 시청하도록 한 뒤 시청 전후 눈의 피로도와 증상의 차이를 안과검사,설문 등을 통해 조사·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설문은 △물체가 흐릿하게 보인다 △눈물이 난다 △현기증이 난다 △속이 메슥거린다 등의 총 14개 항목에 답하도록 했으며,자동굴절측정과 결막충혈정도,입체시,눈물막파괴시간(BUT),안구표면온도 등에 대한 검사가 실시됐다.

 검사결과를 보면 근시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구면대응치(SE)’의 변화량에서 3D를 봤을 때 시청 전보다 근시가 심해졌다.

 2D의 경우는 오히려 약간 근시상태가 호전되는 것으로 분석됐다.눈피로감도 역시 3D가 훨씬 더 급격하게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다만,결막충혈정도와 눈물막파괴시간은 2D와 3D TV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통의 경우 2D 시청 후에는 별 변화가 없었지만,3D를 시청한 이후에는 두통을 호소하는 비율이 시청 전에 비해 증가했다.집중력은 2D와 3D 모두 시청 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눈의 피로를 뚜렷하게 느끼는 시간은 2D 시청의 경우 평균 78.57분이었던데 비해 3D는 54.86분으로 2D와 3D 시청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TV 시청 중 30분,60분,90분,120분마다 기록한 각각의 주관적 피로도 수치도 모든 시간대에서 3D TV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서 주목할만한 것은 4~5m가량 떨어진 TV를 시청할 때 2D TV의 경우 눈의 조절이 풀어져서 근시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3D TV는 먼 거리에서 TV를 시청하는데도 근시가 더 심해졌다는 점이다.

 따라서 3D TV의 경우 눈의 조절을 유발해 일시적으로 근시를 유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게 송 교수의 주장이다.

 눈의 조절이란 먼 곳을 볼 때는 수정체 양쪽을 잡아당기는 모양근이 이완해 수청체가 얇아지고 초점 거리라 길어져 먼 곳이 잘 보이도록 하고,가까운 곳을 볼 때는 모양근이 수축해 수정체가 두꺼워지고 초점거리가 짧아져 가까운 곳을 잘 볼 수 있도록 하는 무의식적인 반사운동을 말한다.

 송종석 교수는 “3D TV를 볼 때 느끼는 피로감은 먼 거리를 주시함에도 불구하고 눈의 조절을 유발하는 게 그 원인으로 생각된다”면서 “2D에 비해 두통이나 눈의 피로를 더 빨리 일으키는 만큼 3D TV를 시청할 때에는 2D TV로 볼 때보다 좀 더 많은 휴식을 취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