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파수 할당·LTE-A 이통사, 투트랙 경쟁

주파수 할당·LTE-A 이통사, 투트랙 경쟁

입력 2013-06-18 00:00
업데이트 2013-06-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SKT·KT, 주파수와 별개로 LTE-A 상용화 박차

국내 이동통신 3사가 이달 ‘1.8㎓ 주파수 대역 할당안’ 결정을 앞두고 롱텀 에볼루션 어드밴스트(LTE-A)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광대역 LTE’를 위한 주파수 할당 결정이 나더라도 상용화까지는 준비가 필요해 당분간은 LTE-A 경쟁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LTE-A 서비스는 하반기쯤 상용화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8월 상용화를 목표로 막바지 작업을 하고 있다. 이번 주파수 할당에서 1.8㎓ 인접 대역을 할당받으면 가장 먼저 광대역 LTE가 가능한 KT도 이와 별개로 8월쯤 LTE-A를 상용화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도 같은 시기 상용화를 목표로 다양한 제품을 시험 중이다.

LTE-A는 최고 속도가 기존 LTE의 75Mbps보다 2배 빠른 150Mbps다. 현재 800㎒, 900㎒, 1.8㎓ 등에 흩어져 있는 LTE 주파수 대역을 하나로 묶어서 데이터가 통하는 도로 폭을 2배로 넓히는 ‘캐리어 어그리에이션’(CA) 기술이 핵심이다.

단말기도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S4 LTE-A’ 개발을 완료하고 이달 초 전파 인증까지 받았다. LG전자도 3분기쯤 LTE-A를 지원하는 ‘옵티머스 G2’를, 팬택도 하반기쯤 관련 단말기를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네트워크다. 당장 상용화하기에는 망 구축이 불완전하다는 게 업계의 이야기다.

이통 3사는 당분간 광대역 LTE와 LTE-A 사업을 투트랙으로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사실 주파수 할당 이후 광대역 LTE를 시작하면 LTE-A의 속도는 의미가 없어진다. 하지만 광대역 주파수를 할당받더라도 또다시 상용화하기까지는 네트워크 구축 등 시간이 필요해 당분간은 LTE-A 경쟁이 불가피하다.

특히 LTE-A를 통해 150Mbps 속도를 맛본 가입자들이 이후 광대역 LTE로 갈아탈 가능성이 커 LTE-A 경쟁은 광대역 경쟁의 전초전 성격이 짙다. 업체 관계자는 “LTE와 마찬가지로 LTE-A가 가진 마케팅 효과가 있어 당분간 업체들이 이걸로 경쟁할 수밖에 없는 구도”라며 “광대역 LTE 상용화 이후에는 지원망으로 활용하는 등 각자 전략을 구상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3-06-18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