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둘 중 한명은 LTE 쓴다’ 점유율 50% 돌파

‘한국인 둘 중 한명은 LTE 쓴다’ 점유율 50% 돌파

입력 2013-12-04 00:00
업데이트 2013-12-04 09: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 이동통신 가입자 둘 중 한 명은 롱텀에볼루션(LTE)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이동전화 가입자 중 LTE 이용자 비중이 50%를 넘어선 것이다.

4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의 LTE 가입자는 최소 2천735만명이다. 이는 약 5천440만명인 전체 이동전화 가입자의 절반을 웃도는 수준이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최근 공식 집계한 유무선 가입자 통계에서 지난 10월 기준 3사의 LTE 가입자 수는 2천658만9천242명으로, 전체 이동전화 가입자 5천437만1천134명의 48.9%를 차지했다.

이통사 관계자는 “아직 공식 집계결과는 나오지 않았지만, 매달 70만∼90만명씩 증가하는 최근 추세를 고려하면 LTE 가입자 점유율은 지난달 50%를 돌파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에 LTE가 처음 도입된 것은 2011년 7월1일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LTE를 상용화하면서부터다. 그 후로 2년5개월 만에 LTE는 ‘LTE급 속도’로 국내 이동전화 시장의 절반을 흡수했다.

LTE 확산 속도는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LTE 가입자가 1천만명(2012년 8월 말)을 돌파하기까지 약 1년 2개월이 걸렸지만, 추가로 1천만명이 증가해 2천만명(2013년 4월 중순)이 되는 데는 약 7개월이 걸렸다.

이통사 관계자는 “LTE는 데이터 속도가 빠른데다 고용량 고화질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저렴하게 제공하는 요금제 등 이통사들의 서비스 경쟁을 유도했다”며 “LTE를 더욱 편리하고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확산 속도도 빨라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통사들은 LTE-어드밴스트(LTE-A), 광대역 LTE 등 LTE 속도를 더욱 높이는 기술을 발 빠르게 내놓고, 제조사들은 새로운 기능으로 무장한 신규 스마트폰을 지속적으로 출시하면서 LTE 확산 속도를 끌어올렸다.

LTE 점유율이 증가함에 따라 2세대(2G)·3세대(3G) 서비스 점유율은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다.

3G 가입자 점유율은 올해 1월 처음으로 50% 밑으로 내려간 48.6%로 줄었다. 지난 6월에는 LTE 가입자 수가 3G 가입자 수를 앞질렀다. 지난 10월 3G 가입자 수는 1천972만5천878명, 점유율은 36.3%다.

지난 10월 기준 2G 가입자는 SK텔레콤 403만5천152명, LG유플러스 402만862명 등 총 805만6천014명 밖에 남지 않았다. KT는 올해 1월부터 순차적으로 전국 2G 서비스를 종료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