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폴 “랜섬웨어 공격으로 150개국 20만건 피해 발생”

유로폴 “랜섬웨어 공격으로 150개국 20만건 피해 발생”

이혜리 기자
입력 2017-05-14 21:16
업데이트 2017-05-14 21: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랜섬웨어로 피해를 본 사례가 전 세계 150개국 20만 건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유럽연합(EU) 경찰기구인 유로폴(Europol)의 롭 웨인라이트 국장은 14일(현지시간) 영국 ITV와의 인터뷰에서 랜섬웨어 피해 규모에 대해 “전례 없는 수준의 전 세계적인 범위“라며 ”최신 집계에서 확인된 피해는 최소 150개국에서 20만여 건에 달한다”고 말했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랜섬웨어. 연합뉴스
랜섬웨어. 연합뉴스
웨인라이트 국장은 “매년 사이버 범죄 200건 정도를 다루고 있지만, 이 같은 공격은 이전에 본 적도 없다”며 “피해를 본 이들 가운데 대다수는 기업체일 것이며 대기업도 포함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지금까지 랜섬웨어 공격으로 범죄조직에 돈을 낸 이들은 극소수라면서도 “월요일 아침에 출근한 사람들이 컴퓨터를 켜면서 피해 규모가 늘어날 것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번 랜섬웨어 공격은 감염된 컴퓨터 한 대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까지 자동으로 감염시킨다는 특징 때문에 유독 빠르게 전파됐다고 웨인라이트 국장은 말했다.

랜섬웨어는 중요파일을 암호화한 뒤 이를 푸는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이다.

은행이 피해를 본 경우는 드물었지만,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한국의 건강보험공단과 유사한 조직)가 공격을 받아 산하 40여 개 병원이 환자 기록 파일을 열지 못하는 등 진료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밖에 러시아 내무부 컴퓨터 약 1000대와 이동통신업체 메가폰, 프랑스 자동차기업 르노, 중국 내 일부 대학교가 공격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