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상트, ‘NO 재팬’에 휘청…올 순익 전망 87% 낮춰

데상트, ‘NO 재팬’에 휘청…올 순익 전망 87% 낮춰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9-11-07 13:22
업데이트 2019-11-07 13: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체 매출 절반 한국에 의존…중국 시장 공략할 듯

한국 매출 의존도가 높은 일본 스포츠 의류업체 데상트가 불매 운동으로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분석됐다.

데상트는 올해 순이익 전망을 87% 낮춰 제시했고, 앞으로 한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중국 시장으로 눈길을 돌리기로 했다.

7일 도쿄신문 등 일본 언론은 데상트가 전날 2019년도 순이익 예상치를 53억엔(약 566억원)에서 86.8% 낮춘 7억엔(약 75억원)으로 대폭 낮췄다고 보도했다. 데상트는 매출 예상치는 1440억엔(약 1조 5374억원)에서 1308억엔으로 9.2% 낮췄다.

이 회사가 실적을 하향 조정한 것은 지난 7월 일본의 반도체 핵심부품 수출규제 이후 한국에서 벌어진 일본 불매 운동의 표적이 됐기 대문이다.

데상트는 전체 매출의 절반 가량이 한국에 집중돼 있어 불매운동의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보인다.

고세키 슈이치 데상트 사장은 전날 오사카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7~9월 한국에서의 매출이 전년 대비 30% 줄었다”며 “상당히 심각한 매출 감소로, 이렇게까지 심해질 줄 예상 못 했다”고 말했다.

데상트의 주요 주주인 이토추상사는 데상트의 한국 의존도가 높으니 중국 등 다른 나라의 시장을 개척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데상트와 경영권 분쟁을 벌였고, 결국 경영권을 장악했다.

한국에서 일본 제품 불매 운동이 계속 이어지며 데상트를 비롯해 한국 사업 비중이 큰 일본 회사들은 심각한 회사들은 심각한 실적 악화를 겪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의 자체 분석 결과 한국 매출 비중이 전체의 10% 이상인 일본 기업 14곳의 3분기(7~9월)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33%나 줄었다.

니혼게이자이는 한일 관계 악화가 영향을 미친 것이라며 일본 제품 불매 운동의 영향이 스포츠용품 뿐 아니라 식품, 자동차 등에서 광범위하게 퍼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