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8개구 아파트 전셋값이 매매가의 60% 넘어

서울 8개구 아파트 전셋값이 매매가의 60% 넘어

입력 2013-07-23 00:00
업데이트 2013-07-23 09: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성북구 64.7% 최고…전셋값 오른 사이 매매가 내린 탓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 수도권 매매가의 99% 수준

전세가격 급등으로 서울 25개 구 가운데 8개 구의 아파트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의 60%를 넘었다.

23일 KB부동산 알리지(www.kbreasy.com)에 따르면 15일 현재 서울 아파트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57.3%으로 전달 56.7%보다 0.6%포인트 높아졌다.

서울에서 아파트 전세가격 비율이 60%를 돌파한 곳은 전체 25개 구 중 8개구로 전달보다 4곳 늘어났다.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성북구가 64.7%로 가장 높고 ▲ 관악구 62.0% ▲ 서대문구 61.9% ▲ 동대문구 60.6% ▲ 강서구 60.4% ▲ 동작구 60.4% ▲ 구로구 60.3% ▲ 중구 60.2% 등 순이다.

도봉구(59.8%), 광진구(59.3%), 중랑구(59.3%) 등도 다음달에는 전세가 비율이 60%를 넘어설 것으로 관측된다.

또 ▲ 노원구(58.8%) ▲ 성동구(58.5%) ▲ 마포구(58.4%) ▲ 종로구(57.8%) ▲ 강북구(57.6%) ▲ 은평구(57.5%) ▲ 금천구(57.3%)의 아파트 전세가격 비율은 현재 50%대 후반으로 이르면 3분기내 60%를 돌파할 것으로 관측된다.

반면 서울에서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이 50%를 밑돈 곳은 용산구(46.4%)뿐이다. 영등포구(54.7%), 양천구(54.6%), 서초구(54.2%), 송파구(53.9%), 강동구(53.9%), 강남구(51.4%) 등은 아직 50%대 초반에 머물고 있다.

전세가격 비율이 지속적으로 오르는 것은 올해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이 2.8% 올랐으나, 매매가격은 1.6% 내린데 따른 것이다.

특히 올해 전세가격은 비수기인 6∼7월에도 이례적으로 상승세를 나타내면서 ‘전세대란’ 우려를 낳고 있다.

전세가 고공행진으로 서울 아파트 전세가는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과 맞먹는 수준까지 올랐다.

부동산써브가 조사한 서울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119만7천526가구의 평균 전세가격은 2억7천706만원으로 서울을 뺀 수도권 소재 아파트 평균 매매가 2억8천13만원의 99%에 달했다.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는 2008년 2억51만원으로 수도권 매매가(3억540만원)의 66% 수준에서 5년만에 99% 수준까지 오른 것이다.

경기도 31개 시 중 12곳을 제외한 19개 시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서울시 아파트 평균 전세가보다 낮다. 연내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이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이 60%를 넘으면 거래가 몰리던 과거와 달리 최근 들어선 가격 상승 기대감이 약해 수요가 전세로만 몰리고 있다.

2001년 10월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이 전국 69.5%, 서울 64.6%를 기록하자 전세 수요가 매매로 몰리면서 주택 거래가 활성화했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 소장은 “거시 경제 회복 조짐이 나타나고 주택 공급 과잉 해소와 가격 상승 신호가 나타나야 매매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