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전국 땅값 1.25% 상승…제주 상승률 5.71%로 1위

상반기 전국 땅값 1.25% 상승…제주 상승률 5.71%로 1위

입력 2016-07-27 11:03
업데이트 2016-07-27 1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군·구 중 울산 동구와 경남 거제만 땅값 하락주택거래 줄면서 토지거래량도 감소…순수토지거래는 저금리에 최고치

상반기 전국 땅값이 소폭 상승했다.

땅값은 2010년 11월 이후 지난달까지 68개월째 오르고 있다.

2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상반기 지가변동률(상승률)은 1.25%였다.

상반기 지가변동률은 작년 12월 지가지수(102.572)와 올해 6월 지가지수(103.850)를 비교해 산출됐다.

지가지수는 한국감정원이 전국 7만필지를 선정해 공시지가와 적정 실거래가 등을 토대로 산출하며 기준(지가지수 100)은 2014년 12월이다.

상반기 땅값이 가장 큰 폭으로 뛴 곳은 제주로 상승률이 5.71%였다.

특히 제주 서귀포시와 제주시는 땅값이 각각 6.08%와 5.49% 올라 상승률로 따졌을 때 시·군·구 가운데 1위와 2위였다.

작년 11월 발표된 제주 제2공항 후보지 주변으로 투자수요가 몰리면서 서귀포·제주시 땅값이 뛰었다고 국토부는 분석했다.

제주 다음으로는 세종(2.10%)·대구(2.00%)·부산(1.92%)·대전(1.66%)·서울(1.34%)·강원(1.34%)·경북(1.32%) 등의 땅값 상승률이 높았다.

세종은 행정중심복합도시가 개발 중인 것이 땅값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됐고 대구와 부산은 각각 달성군·남구와 해운대구가 상승을 이끌었다.

시·군·구 가운데 땅값 상승률 3위를 기록한 해운대구(3.85%)는 센텀2지구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 등 호재가 나타나고 주택재개발사업이 진척되면서 땅값이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땅값 상승률 4위인 달성군은 대구지하철 1호선이 하반기 연장 개통되는 점 등이 땅값에 영향을 미쳤고 상승률 5위인 남구는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투자수요가 늘고 단독주택지 가격이 올라 땅값이 상승했다.

시·도 가운데 광주(1.24%)·울산(1.18%)·전남(1.13%)·경남(1.13%)·전북(1.04%)·경기(0.95%)·충남(0.89%)·충북(0.86%)·인천(0.82%) 등은 땅값 상승률이 전국 평균(1.25%)보다 낮았다.

특히 시·군·구 가운데는 조선업이 중심산업인 울산 동구(-0.28%)와 경남 거제시(-0.19%)만 땅값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도 조선업이 침체하면서 부동산수요가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용도지역별 땅값 상승률은 주거(1.39%)·계획관리(1.32%)·상업(1.17%)·녹지(1.1%)지역 순이었다.

이용 상황별로는 주거용지(1.40%)·전(1.38%)·답(1.06%)·공장용지(0.93%)·임야(0.85%) 순서로 상승률이 높았다.

한편 상반기 토지거래량은 140만7천410필지(1천102.6㎢)로 상반기 기준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던 작년 상반기(153만661필지)보다는 8.1%, 작년 하반기(155만5천868필지)보다는 9.5% 감소했다.

단 최근 5년(2011∼2015년) 평균(122만1천256필지)보다는 15.2% 많았다.

상반기 토지거래량은 시·도 가운데 강원·제주·충북에서만 늘었다.

국토부는 주택거래량이 줄어 토지거래량도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

토지거래량은 건축물 부속토지와 건축물에 속하지 않은 순수토지의 거래량을 합해 계산한다.

순수토지거래량은 55만7천필지(1천23.2㎢)로 작년 하반기보다는 3.5% 줄었지만, 작년 상반기에 견주면 1.6% 늘면서 토지거래량 조사를 시작한 2006년 이후 상반기 거래량으로는 최고치를 기록했다.

저금리상황이 지속하면서 개발수요가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토지거래가 활발해 순수토지거래량이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국토부는 분석했다.

지가변동률과 토지거래량 상세자료는 R-ONE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r-one.co.kr)과 국토교통통계누리(sta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