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 투자 주고객 ‘강남 젊은 오빠’…투자자 넷 중 셋은 수도권 거주자

P2P 투자 주고객 ‘강남 젊은 오빠’…투자자 넷 중 셋은 수도권 거주자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17-11-07 23:16
업데이트 2017-11-08 17: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8퍼센트’ 1만 7298명 분석

연 금리 10% 안팎의 중금리 시장을 공략하며 급성장하는 P2P(개인 대 개인) 금융 주요 투자자는 ‘강남 젊은 오빠’인 것으로 나타났다. P2P는 돈을 빌리려는 사람(대출자)과 빌려줄 수 있는 사람(투자자)을 온라인 플랫폼으로 연결하는 핀테크로 한국에선 지난해부터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7일 서울신문이 대표적인 P2P 기업 8퍼센트에 의뢰해 거주 지역을 밝힌 투자자 1만 7298명(해외 거주 제외)을 분석한 결과, 서울(44.1%)과 경기(26.3%) 비중이 70.4%에 달했다. 세 번째로 많은 인천(4.8%)까지 합치면 투자자 넷 중 셋은 수도권 거주자다. 지난해 기준 수도권 인구 비중(49.5%)을 훌쩍 뛰어넘었다.

서울 자치구별로는 강남구(10.5%)가 가장 많았다. 송파구(7.9%)와 서초구(7.8%) 등 강남 3구가 26.2%를 차지했다.

8퍼센트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경제적 여유가 있는 강남 3구 거주자는 재테크에도 관심이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P2P는 투자자에게 평균 10~15%의 수익률을 제시하며, 매월 투자금을 균등하게 돌려줘 저금리 시대 재테크 수단으로 떠올랐다.

눈에 띄는 건 관악구(8%) 거주자가 강남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것이다.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통계를 보면 지난달 말 기준 관악구 인구는 50만 4649명으로 서울 자치구 중 5번째다. 인구 대비 P2P 투자자가 많은 셈이다. 8퍼센트는 “관악구에는 가산·구로디지털단지 등 첨단 기업에 출퇴근하는 직장인이 많아 핀테크도 관심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투자자 평균 연령은 33.4세로 집계됐다. 투자자 성별은 남성(72.8%)이 월등히 많았다. 최대 투자자는 2918개 채권(상품)에 7억원을 분산 투자했다.

한국P2P금융협회에 등록된 기업의 누적 대출액은 지난달 말 기준 1조 5722억원으로 1년 새 4.6배나 증가했다. 하지만 연체율(30~90일간 상환 지연 비율)이 9월 2.99%에서 지난달 6.01%로 두 배 이상 뛰었고, 부실률(90일 이상 연체 비율)은 0.92%에서 1.13%로 상승하는 등 일부 기업에서 ‘위험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P2P는 원금 손실 우려가 있는 고위험상품인 만큼 분산투자가 필수”라며 “과도한 수익률을 제시하거나 이벤트를 펼치는 기업은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17-11-08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