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도 못 갚아… 제조업은 매출 역성장
코로나에 올 수익·안정성 더 악화될 듯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조사 대상 영리법인기업 74만 1408곳의 지난해 매출액은 1년 전보다 평균 0.4% 증가하는 데 그쳤다. 특히 제조업의 매출액 증가율은 -1.7%를 기록해 2016년(-1.3%) 이후 3년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2015년(-4.1%)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반도체·휴대전화 등의 수출 부진, 화학제품 가격 하락으로 전자·영상·통신장비의 매출액은 8.1%, 화학제품 업종은 5.2% 하락했다.
사실상 성장이 멈춘 기업들은 수익성도 악화됐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1년 전 5.6%에서 4.2%로, 매출액 대비 세전 순이익률은 5.3%에서 3.7%로 하락했다. 수익성 하락도 제조업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전자·영상·통신장비 업종의 영업이익률이 1년 새 18.2%에서 5.6%로 하락했고, 이 영향으로 전체 제조업의 영업이익률은 같은 기간 7.3%에서 4.4%로 떨어졌다. 비제조업은 4.3%에서 4.0%로 하락했다.
이자 비용이 없는 기업을 제외한 기업의 36.6%는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으로 조사됐다. 이자보상비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으로, 이 비율이 100% 미만이면 돈을 벌어 이자도 감당하지 못한다는 얘기다.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9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김대진 한은 경제통계국 기업통계팀장은 “지난해 주요국 성장세가 둔화했고 글로벌 통상 마찰도 있었다”며 “우리나라 기업들의 경영 환경도 좋지 않았고 매출과 영업이익도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20-10-22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