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KT와 손잡고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 중 하나인 ‘스마트 그린도시’ 구축 사업에 나선다. 도심 거리의 가로등과 상하수도와 같은 ‘가로(街路) 시설’에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접목해 환경을 개선하는 게 핵심이다.
포스코는 21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KT와 ‘스마트 그린도시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가로수 보호 시설물을 제조하는 중소기업 마이즈텍도 참여했다.
‘스마트 가로 시설’은 빗물을 저장해 나무에 공급하고 뿌리의 융기(지상 돌출)를 막는 친환경 시설이다. 가로수의 생명 주기를 늘려 도심의 이산화탄소를 감축시키고 복잡한 전력·통신선을 지하에 매설해 도심 미관을 개선한다는 장점이 있다.
포스코는 부식에 강한 특수 철강재 ‘포스맥’을 소재로 공급하고 건축용 철인 강재를 다루는 기술도 함께 제공한다. KT는 가로수와 토양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가로수 급수 시설에 빗물관 모니터링 센서 등을 설치한다. 마이즈텍은 급수 시설과 가로수 보호대 등을 제작·공급한다. 정부는 스마트 그린도시 25곳을 선정해 내년부터 2년간 총 29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포스코는 21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KT와 ‘스마트 그린도시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가로수 보호 시설물을 제조하는 중소기업 마이즈텍도 참여했다.
‘스마트 가로 시설’은 빗물을 저장해 나무에 공급하고 뿌리의 융기(지상 돌출)를 막는 친환경 시설이다. 가로수의 생명 주기를 늘려 도심의 이산화탄소를 감축시키고 복잡한 전력·통신선을 지하에 매설해 도심 미관을 개선한다는 장점이 있다.
포스코는 부식에 강한 특수 철강재 ‘포스맥’을 소재로 공급하고 건축용 철인 강재를 다루는 기술도 함께 제공한다. KT는 가로수와 토양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가로수 급수 시설에 빗물관 모니터링 센서 등을 설치한다. 마이즈텍은 급수 시설과 가로수 보호대 등을 제작·공급한다. 정부는 스마트 그린도시 25곳을 선정해 내년부터 2년간 총 29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2020-10-22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