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소상공인 협업체 집중 발굴·육성
협업체마다 최대 1000만~5억원 지원
오영주(오른쪽)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지난달 23일 서울 은평구 연서시장에서 설 성수품 물가 동향 및 상인들의 민생현안을 점검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정부가 소상공인 협업체 270개를 선정해 총 113억원을 투입한다. 공동생산 판매, 홍보·마케팅, 조직화도 함께 지원해 이들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소상공인 협업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이런 내용이 담긴 ‘2025년 소상공인 협업 활성화 사업’을 4일 공고한다고 3일 밝혔다. 중기부는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2478억원을 투입해 6100여개 소상공인 협동조합을 지원해 왔다.
지원 방식은 공동사업, 판로지원, 협업아카데미 등 세 가지다. 공동사업과 판로지원은 지난해까지 협동조합만 신청할 수 있었지만, 올해부터 소상공인 50% 이상으로 구성된 5인 이상 협업체도 신청할 수 있다. 270개 협업체에 총 113억원을 투입하는데, 협업체마다 최대 1000만~5억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공동사업은 지역 상권 중심의 ‘상권형’, 동종·이업종을 연계하는 ‘산업형’, 협동조합 기반의 ‘조합형’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눠 지원한다. 특히 상권형에는 골목경영패키지를 신설해 점포가 50개 미만인 소형 상권의 자립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지역별 소상공인 협동조합 발굴과 교육을 지원하는 협업아카데미는 수도권·중부권·호남권·영남권 4개 권역으로 확대한다. 이번 공고에서는 조합형으로 신청할 소상공인 협동조합 60개와 상권형·산업형 지원 전문기관 2곳을 우선 모집한다. 상권형과 산업형 소상공인 협업체 20개는 5월 중에 별도 선발한다.
이대건 중기부 소상공인정책관은 “소상공인 간 협업과 자원 공유를 활성화하고 지역경제와 함께 지속 가능한 성장모델을 만들어갈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