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어드는 아기 울음…점점 커지는 ‘곡소리’

줄어드는 아기 울음…점점 커지는 ‘곡소리’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7-02-22 22:32
업데이트 2017-02-23 01: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출생 7.3%↓ 역대최저…고령화 반영 사망자 5100명↑

마치 동전의 앞뒷면과 같은 ‘저출산’과 ‘고령화’는 우리 사회가 당면한 가장 심각하고 엄중한 문제다. 조금씩이라도 나아지기는커녕 점점 더 악화돼 온 어두운 현실이 지난해 수치상으로 양쪽에서 극단을 찍었다. 출생아는 역대 가장 적었고, 반대로 사망자는 역대 가장 많았다. 그렇다 보니 인구 자연증가분(출생아에서 사망자를 뺀 것)도 전년보다 20% 이상 줄어들었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16년 출생·사망통계’(잠정치)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40만 6300명으로 전년보다 3만 2100명(7.3%) 감소했다. 1970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적은 것이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합계출산율)는 1.17명으로 전년(1.24명)보다 5.6% 줄었다.

여성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말하는 조(粗)출산율은 35~39세 48.7명, 40~44세 5.9명으로 전년보다 각각 0.4명, 0.3명 늘었다. 하지만 25~29세와 30~34세 여성의 출산율이 각각 6.7명과 6.6명 줄었다.

지난해 사망자 수는 28만 1000명으로 전년보다 5100명(1.8%) 증가했다. 하루 평균 768명이 세상을 떠난 것으로, 일일 기준 12명씩 늘었다. 전년 대비 사망자는 80대(6.2%), 90세 이상(5.3%)에서 주로 증가해 고령화 추세가 그대로 반영됐다.

지난해 자연적으로 늘어난 인구는 12만 5300명으로 전년보다 22.9%(3만 7200명) 감소했다. 이 역시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자연증가가 0이 되면 인구는 감소세로 돌아선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02-23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