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스마트워크 센터 구축보다 시급한 일 /김석일 충북대 컴퓨터공학부 교수

[기고] 스마트워크 센터 구축보다 시급한 일 /김석일 충북대 컴퓨터공학부 교수

입력 2010-12-24 00:00
업데이트 2010-12-24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11월 서울 도봉구와 경기 분당 등 두곳에 공무원이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워크(Smart Work) 센터가 문을 열었다. 스마트 워크란 직장 사무실 대신 외부에 마련된 공간을 이용해 업무를 볼 수 있는 원격근무 형태를 말한다. 스마트 워크가 일반화되면 직장인들은 멀리 있는 사무실로 출근하지 않고 가까운 스마트 워크 센터를 찾아 업무를 볼 수 있다.

이미지 확대
김석일 충북대 컴퓨터공학부 교수
김석일 충북대 컴퓨터공학부 교수
스마트 워크는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우선 직원들의 불필요한 공간 이동을 단축시켜 업무 시간의 효율적인 운용이 기대된다. 교통 혼잡 문제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다. 모바일 근무 여건까지 갖춘다면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업무처리를 할 수 있다. 스마트 워크의 생산성도 기대할 만하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정부는 2015년까지 전체 공무원의 30%가 근무할 수 있는 500여개의 스마트 워크 센터를 구축하는 등 스마트 워크 추진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특히 행정기관의 세종시 이전과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 계획이 완료되면 이들 기관 소속 직원의 빈번한 수도권 출장으로 인해 스마트 워크 센터의 수요는 더 늘어날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들 기관의 지방 이전으로 발생한 유휴공간을 활용한다면 스마트 워크 센터 구축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기술적으로도 스마트 워크 실현에 필요한 PC 환경의 개인화 기술,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보안기술 등이 이미 개발되었거나 상용화를 앞두고 있어 정부의 계획 달성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정부의 스마트 워크 추진계획을 보면 정작 중요한 한 가지가 빠져 있다. 바로 웹 표준과 웹 접근성을 보장하도록 정부 행정망을 개선하는 일이다. 현재 사용하는 정부 행정망은 웹 표준 개념이 없던 시절에 구축된 것이라 최신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할 수 없다. 대신 민간에서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구 버전의 웹 브라우저를 설치해 사용해야 한다. 게다가 정부 행정망에서 사용하는 액티브 엑스(Active-X) 기술로 인해 스마트폰을 이용한 접속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정부 행정망을 대폭 보완하지 않으면 완벽한 스마트 워크의 구현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아야 한다.

웹 접근성 측면에서 보면 현행 정부 행정망은 장애인 배려에 문제가 있다.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전산망은 장애로 인해 차별받지 않게 구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법이 시행된 지 만 2년이 지났지만 정부는 장애인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행정망 개선사업은 말할 것도 없고, 기관별로 사용 중인 행정망에 대한 웹 접근성 실태조사조차 공개한 적이 없다. 웹 표준과 웹 접근성을 보장하도록 정부 행정망을 보완하지 않으면 스마트 워크 센터를 아무리 ‘스마트’하게 만든다고 해도 장애를 가진 공무원은 이용할 수가 없다. 또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업무 처리도 불가능하다. 그런데도 정부의 스마트 워크 추진 계획에는 행정망의 웹 표준이나 웹 접근성 개선에 관한 내용이 빠져 있다.

스마트 워크 추진과 정부 행정망의 웹 표준·웹 접근성 개선 사업은 반드시 함께 추진돼야 한다. 지금이라도 정부 행정망에 대한 웹 표준 준수와 웹 접근성 개선을 위한 추진계획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2010-12-24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