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청소년에게 미래의 희망을 걸자/안재헌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이사장

[기고] 청소년에게 미래의 희망을 걸자/안재헌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이사장

입력 2012-08-09 00:00
업데이트 2012-08-09 01: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안재헌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이사장
안재헌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이사장
지난달 28일 성화 점화와 함께 30번째로 맞이하는 지구촌 축제인 런던 올림픽이 개막되었다. 개막식은 영국 역사와 문화의 저력을 보여주는 공연과 함께 특별한 성화 점화행사로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성화 점화는 마지막 주자인 7명의 청소년에 의해 동시에 점화된 여러 개의 불꽃이 하나로 모아져 힘차게 타오르는 장관을 연출하면서 보는 이에게 경탄을 자아냈다. 이 장면은 지구촌 모든 나라의 평화로운 공생을 기원하는 ‘하나 되는 삶’을 주제로 표현한 것이다. 특히 여느 올림픽과는 달리 기성 유명 스타가 아닌, 청소년 유망주 7명이 최종 성화주자로 등장한 것은 지구촌의 모든 인류에게 세대를 이어 나갈 청소년의 존재와 역할을 상기시키는 의미 있는 메시지를 압축해서 표현한 것이다.

과거 세계 최강대국의 영화 대신 노쇠한 국가로서의 이미지가 더 짙어진 영국은 근래 ‘니트족’ 증가나 폭력과 난동을 저지르는 청소년이 늘어나며 커다란 고민을 하고 있다. 이에 2010년 5월 출범한 캐머런 정부는 자국민의 복리 증진에 있어 정부의 기능보다 지역사회의 역할 강화를 강조하는 ‘큰 사회’라는 정책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실현하는 데 가장 중요한 프로그램의 하나로 청소년을 위한 국가시민봉사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중등자격검정 시험을 마친 16세 전후 청소년들이 자연 속에서 모험활동과 생활기술 습득을 위한 공동체 캠프를 하고, 가보지 못한 다른 지역에서 봉사활동을 하며, 자기가 사는 지역에서 지역사회 변화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청소년들이 유대감 있는 사회의 건강하고 책임감 있는 시민으로 성장하게 하는 것이 이 프로그램의 목적이다.

청소년에 대한 영국 사회의 관심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1956년 엘리자베스 여왕 남편인 에든버러 공의 주창으로 시작된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는 그 대표적인 사업이다. 이 제도를 통해 영국을 비롯, 전 세계 141개국 청소년들이 봉사·자기개발·신체 단련·탐험 분야의 활동에 주기적·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청소년의 문제는 영국과 같은 선진국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지식정보사회로 이행하면서 사회적 연대의식 결핍 등 새로운 유형의 청소년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의 삶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동시에 청소년들에게 사회적 연대의식과 책임감을 고양하는 기회를 충분히 확대해 주어야 한다.

다른 한편 심각한 저출산·고령화 현상 속에서 청소년에 대한 새로운 정책적 지원이 요망된다. 노인인구 부양에 대한 사회적 부담을 짊어질 젊은 세대에 대한 적극적 지원 없이는 사회적 성장 동력을 상실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현실은 선거철마다 넘치는 선심성 공약 속에 복지사업의 확대는 과속이 우려되는 반면 청소년 정책의 변화는 미미하다. 인성교육과 공동체생활교육, 진로 및 직업 역량 함양에 대한 지원은 미흡한 채 성인기 이행과정은 거의 개개인의 노력에만 의존하고 있다.

런던 올림픽의 성화점화 행사가 전하는 메시지처럼 지구촌이 하나가 되는 삶을 살아 나가기 위해서는 젊은 세대에게 더 많은 관심과 지원, 새로운 역할이 주어져야 한다. 이것이 이번 올림픽 성화 점화 행사가 주는 진정한 교훈이다.

2012-08-09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