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나로쇼, 성공의 유전자라도 남겨라/박건형 사회부 기자

[오늘의 눈] 나로쇼, 성공의 유전자라도 남겨라/박건형 사회부 기자

입력 2012-11-15 00:00
업데이트 2012-11-15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박건형 사회부 기자
박건형 사회부 기자
 사실 한국형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Ⅰ)는 과학으로 포장된 쇼에 가깝다. 10년간 8000억원에 가까운 예산이 투입됐지만, 그 결과로 우리나라가 무엇을 얻었는지는 대답하기 쉽지 않다. 발사대 운용기술과 2단 로켓 제작기술을 배웠지만 공동 개발국인 러시아는 가장 중요한 발사체 기술을 전혀 알려주지 않았다. 완제품을 러시아에서 만들어 들여오다 보니 어깨너머로 배우는 것조차 불가능했다.

 발사체에 있어 한국은 나로호 이전과 이후에 달라진 것이 없다. ‘러시아가 기술을 줄 것 같아서’라는 순진한 믿음에서 첫 단추를 잘못 채운 결과다. 두 번의 실패가 있었고, 러시아 측의 눈치만 봐야 하는 3차 발사 일정은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이달 말에는 무조건 발사하겠다는 교육과학기술부 고위 관계자에게 “날짜가 정확히 언제냐.”라고 묻자 “까리하다.”(알쏭달쏭하다의 사투리)고 답할 정도다.

 민감한 기술의 국가 간 협력은 시작을 결심하기 힘든 만큼 중단하기도 어렵다. 국가 간 협약을 일방적으로 파기할 수도, 계약 이상의 것을 요구하는 것도 불가능하고 그냥 관성대로 처음 정한 길을 가야 한다. 정부도, 과학자들도 알고 있다. 나로호 성공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 한국형 발사체라는 허울 좋은 포장된 자부심뿐이라는 걸 말이다.

 나로호는 그냥 우주선에 한국인 1명을 태워 보내기만 했던 ‘한국 최초 우주인 배출 사업’처럼 대국민 쇼와 다르지 않다. 차라리 그 돈을 처음부터 1단 발사체 개발에 투자했더라면 2021년으로 예정된 순수 한국형 발사체의 개발시기를 앞당길 수 있었을 것이라는 푸념이 공공연하게 떠도는 이유다. 나로호 3차 발사는 기술 약소국의 설움이 어떤 것인지를 한국민들에게 명확히 알려줬다. 값비싼 교훈이다. 이왕 시작한 ‘쇼’ 역시 극적인 최후의 성공으로 마무리되면 좋지 않을까. 우주인 사업이 우주를 보고 돌아와 그 경험이라도 얘기해줄 수 있는 1명의 한국인을 배출한 것처럼, 나로호도 한국 연구진에게 ‘성공의 유전자’라도 남기기를 바란다.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2012-11-15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