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전 좌석 안전띠’ 안전한 사회 첫걸음/정일영 교통안전공단 이사장

[기고] ‘전 좌석 안전띠’ 안전한 사회 첫걸음/정일영 교통안전공단 이사장

입력 2012-11-16 00:00
업데이트 2012-11-16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일영 교통안전공단 이사장
정일영 교통안전공단 이사장
2011년 한 해 자동차 사고로 5229명이 목숨을 잃었다. 하루 평균 14명꼴이다. 교통사고는 예방이 최선이다. 세상 모든 슬픔을 안아주는 안식처이자 삶의 근원인 가족의 사랑과 행복을 송두리째 앗아가기 때문이다. 어떤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막아야 하는 이유다. 하지만 노력에도 불구하고 발생하는 교통사고가 있다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안전띠는 교통사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가장 보편적이면서, 동시에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다.

실제 지난 9월 교통안전공단에서 실시한 버스 전복 실험 결과,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 상해 가능성이 18배나 높았다. 또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안전띠 착용 여부에 따른 사망률 분석에서도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의 사망률이 3배 이상 높았다.

안전띠 착용은 생명 보호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안전띠 착용률은 여전히 선진국에 비해 낮다. 교통안전공단에서 실시한 2012년 교통문화지수 조사결과를 보더라도 우리의 안전띠 착용률은 69%로 일본의 98%, 독일의 96% 등 선진국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수준이다. 특히 뒷좌석 안전띠 착용률은 9%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다. 교통선진국은 영국 88%, 프랑스 82% 등으로 전 좌석 안전띠 매기가 생활화돼 있다.

전 좌석 안전띠 착용 생활화는 그 나라의 교통안전수준을 보여주는 바로미터와 같다. 성숙한 교통안전 의식 정착을 위한 교육과 캠페인이 필요한 부분이다. 교통안전공단에서는 전국적인 캠페인과 교육, TV·라디오·신문 광고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 좌석 안전띠 착용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다. 지속적인 시행과 더불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시민단체 등 사회 공동체의 연합된 관심과 노력도 요구된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대중교통으로 이용하고 있어 한 번의 사고만으로도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는 사업용 자동차는 운전자와 승객 모두의 교통안전 의식 변화가 절실하다.

교통안전 의식 개선을 위한 노력과 함께 전 좌석 안전띠 착용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도 필요하다. 정부에서도 전 좌석 안전띠 착용의 중요성을 인식해 지난 5월 23일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을 개정했다. 법령이 시행되는 11월 24일부터 버스나 택시 등의 여객자동차는 별도로 정하는 도로에서 전 좌석 안전띠 착용을 의무화하고, 운수종사자의 안전띠 착용 고지의무를 명문화했다. 하지만 선진국에서는 이미 전 도로, 전 차종, 전 좌석 안전띠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는 만큼, 우리도 확대시행을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제도의 실행력 확보를 위한 강력한 단속과 점검도 병행돼야 한다. 나아가 안전띠가 가진 성능을 온전히 발휘하기 위해 안전띠의 올바른 착용을 유도하고, 만 6세 미만의 유아에게 장착하는 보호용 장구도 확대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우리는 세계 10위의 경제대국, 세계 5위의 자동차 생산국 등 많은 부문에서 비약적인 성장을 이뤄 왔다. 그러나 교통안전 수준은 선진국과 비교해 20년 이상 뒤처져 있다. 교통안전 후진국이라는 오명을 벗고, 나와 우리 모두가 안전하고 행복한 사회를 위한 첫걸음은 전 좌석 안전띠 착용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2012-11-16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