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擧世皆濁/정기홍 논설위원

[씨줄날줄] 擧世皆濁/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2-12-24 00:00
업데이트 2012-12-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선을 끝낸 세밑이 어수선하다. 지역 간의 갈등과 세대 간, 계층 간의 불신이 넘쳐난다. 삶이 어려운 서민에게 따뜻한 아랫목을 찾아주는 ‘희망의 릴레이’가 이어져도 성에 차지 않을 판인데 말이다. 교수신문이 올해의 사자성어로 거세개탁(擧世皆濁)을 선정했다. 온 세상이 탁해 지위의 높고 낮음을 막론하고 모든 사람이 바르지 않아 홀로 깨어 있기 힘들다는 뜻이다. 중국 초나라의 시인 굴원의 ‘어부사’(漁父辭)에 실린 고사성어다.

교수신문은 “혼탁한 한국 사회에서 위정자와 지식인의 자성을 요구한 것”이라고 선정 이유를 설명했다. 지식인들마저 정치판에 몰려 다니고 편법과 탈법이 판치는 세상을 빗댄 것이다. 대선 정국에 대한 함의(含意)로 읽힌다. 대선의 해에 선정된 세 번의 사자성어에는 정치의 혼탁함을 지적한 공통점이 있다. 16대 대선의 해인 2002년 이합집산(離合集散)은 헤어졌다가 모이는 것이 다반사인 정치판 생리에 대한 개탄이었다. 참여정부가 출범한 2003년엔 우왕좌왕(右往左往)을 선정해 정치·경제·외교에서 사뭇 혼선을 빚은 사회상을 비판했다. 2007년 대선 때의 자기기인(自欺欺人)은 집단적 도덕 불감증을 꼬집었다. 유명 정치인 등 사회 지도층 인사의 학력 위조와 논문 표절이 연일 이슈가 된 해였다.

교수신문이 사자성어를 발표해 온 것은 2001년부터. 첫해 오리무중(五里霧中)을 시작으로 12년간 빗나간 세태를 신랄하게 비꼬았다. 물론 한해를 되돌아보고 새해를 준비하는 밑거름도 됐다. 그런데 해가 갈수록 촌철살인의 맛을 잃어가고 있는 듯하다. 의도한 뜻을 깊숙한 곳에 숨기고 또 숨긴다. 2004년 당동벌이(黨同伐異)부터 지금까지 일별하면 그저 일반인의 우매함을 채찍질하려는 ‘그들만의’ 현학적 문구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혹자는 이를 두고 “처음에는 사회 현상에 순수하게 접근했지만 다양한 변화상을 담아내기가 쉽지 않자 더 깊숙한 곳에서 찾아야 한다는 강박감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같은 한자문화권인 중국과 일본도 올해를 상징하는 한자를 선정했다. 중국은 꿈을 뜻하는 ‘몽’(夢)을, 일본은 쇠를 뜻하는 ‘금’(金)을 내세웠다. 양국 모두 런던올림픽 성적 등 밝은 면을 조명해 담아냈다. 희망의 메시지는 언제나 긍정의 힘을 낳는다. 내년 이맘땐 짧지만 보다 알기 쉽고 밝은 뜻의, 가슴에 와닿는 사자성어를 접할 수 있을까. 중국과 일본은 오래전부터 번잡한 한자성어를 버리고 간단한 외자를 선정해오고 있지 않은가.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2-12-24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