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화종 강원대 컴퓨터정보통신과 교수
드문 경우지만 세계적으로 성공한 기업가 중에는 대학 수업을 듣는 시간도 아까워 하루라도 젊을 때 중퇴한다는 이야기가 성공사례로 소개되기도 한다. 지하자원이 적은 우리나라는 문화, 콘텐츠, 기획 등 지식 자원을 창의적으로 다룰 수 있는 ‘사람’이 가장 중요한 자산이다. 이를 체계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한편 현재 사회적으로 가장 중요한 이슈인 일자리 창출, 특히 청년 취업률을 높일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다. 앞으로 하드웨어 의존도가 높은 산업이나 제조업에서는 글로벌 가격 경쟁력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다.
우리나라는 중국이나 개발도상국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질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 분야에서 정보기술(IT) 비중이 반을 넘으며 그중 소프트웨어의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지식기반 산업 구조 변화에 적응하면서 동시에 국제 경쟁력을 갖는 인력 부분에 집중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 소프트웨어 관련 학과의 지원율이 줄고 있다고 한다. 이는 앞으로 산업 경쟁력을 근본적으로 떨어뜨릴 것이다. 대학 교육만으로는 이러한 인력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우리나라는 게임 강국이다. 게임 프로그램도 잘 만들고 게임 스포츠도 잘한다. 하지만 동시에 청소년이 게임에 빠지는 피해도 매우 심각하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학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주원인도 게임이라고 한다. 게임 산업은 갈수록 커지고 게임 기업의 수익도 늘어나겠지만, 게임은 심각한 사회문제를 만들기도 한다. 게임 산업이 우리나라 소프트웨어의 대표 산업이 될 수는 없다.
청년의 창의성을 키우고 우리나라의 부족한 소프트웨어 인력 육성을 위한 새로운 국가적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청소년이 여러 이유로 게임에 빠지는 문제를 소프트웨어 언어를 배우는 재미로 전환시키며 동시에 청년의 창의적 아이디어가 발현될 수 있는 경제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기 힘든 수업 과목으로서가 아니라 게임하듯 재미있는 언어처럼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프로그래밍 ‘언어’도 잘 사용하려면 일반 언어처럼 익숙해지는 습관이 필요하다. 일반 학과목 공부하듯이 배우도록 해서는 고급 프로그래머를 양성하기 어렵다.
게임은 재미있기 때문에 빠지는 것이다. 개임을 하면서 새로운 승리 전략을 만들고 남과 경쟁하면서 중독된다. 그런데 이러한 재미적인 요소는 소프트웨어 언어에도 있다. 더욱이 소프트웨어 제품은 앞으로 흥미로운 요소를 가져야 경쟁력이 있다. 미국에서는 어릴 때부터 프로그래밍 언어를 가르치는 게 유행이라고 한다. 우리가 당면한 청소년 실업 문제, 다른 흥미로운 대상이 없어 게임에 빠지는 문제, 소프트웨어 인력 부족 문제 등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코드 코리아’ 정책 수행을 제안한다.
2013-08-1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