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무슨 책을 읽을까?/김재원 KBS 아나운서

[문화마당] 무슨 책을 읽을까?/김재원 KBS 아나운서

입력 2013-08-15 00:00
수정 2013-08-1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재원 KBS 아나운서
김재원 KBS 아나운서
고2 아들아이가 요즘 묵언수행 중이다. 입을 닫았다. 통 말이 없다. 방학이 끝나가지만 이름만 방학일 뿐 여전히 학교를 오고 가는 그 아이가 아빠는 물론 엄마에게도 입을 닫은 지 벌써 몇 개월째다. 이러다 말겠지 싶었지만 요즘은 심지어 후기인상파다. 얼굴은 우울하고 입은 닫고 사이버 인간처럼 움직인다. 그동안 제법 조잘대던 아이라 더 마음이 쓰인다. 주변 얘기를 들어보면 대부분 청소년들이 집에서 말을 하지 않는 모양이다. 그들은 왜 입을 닫았을까?

중학교 2학년들에게 ‘중2병’이라는 진단이 내려졌다. 그들이 가장 무섭다는 평가를 받을 만큼 그 나이 또래의 생각은 종잡을 수 없다. 남보다 우월하다거나 열등하다는 착각에 빠져 있단다. 방송이나 강연에서 만나는 청중 가운데 가장 두려운 존재가 그 또래들이다. 전혀 들으려고 하지 않고 어떻게 반응할지 예상할 수가 없다. KBS 한국어연구팀장으로 일하면서 가끔 중·고등학교에 언어폭력 예방 강의를 나간다. 누군가의 말을 들으려고 하지 않는 그들의 언어세계는 이미 언어폭력으로 얼룩져 있다. 은어와 속어는 물론이고 욕설조차 일상어로 자리 잡은 경우가 다반사여서 어른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그들의 속마음은 과연 무엇일까?

청소년의 언어폭력은 사회적 분출구가 없는 아이들에게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불투명한 미래와 답답한 부모, 꽉 막힌 스승과의 불통으로 막히고 눌린 아이들의 불만이 오로지 뚫린 입으로 비집고 나온다. 이제 아이들에게 소통수단은 언어밖에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시간이 부족한 아이들은 더 이상 놀이로도, 운동으로도 소통할 수 없다. 결국 욕설과 은어로 자신들만의 세계를 구축한다. TV에서, 인터넷에서 어른들에게 배운 것이다. 이제 어른의 대화를 고스란히 따라하고 있을 뿐이다. 어른들이 석고대죄해야 한다. 어른들은 아이들의 마음을 모르고 있다.

청소년들이 집에서 부모와 대화를 하지 않는 것도, 강사들에게 불편한 청중이 된 것도, 그들 사이에 폭력적 언어가 만연한 것도 어쩌면 그들의 마음을 읽어주는 누군가가 없었기 때문일지 모른다. 부모도, 선생님도, 친구도 자신의 마음을 읽어주지 않는다. 그저 막막한 공부와 불투명한 미래에 대한 걱정과 염려가 전부이다. 그들의 마음을 읽어줄 한 사람이 없기 때문에 그들은 세상에 입과 귀를 닫았다. 누가 이 아이의 마음을 읽어줄까?

일부 지방자치단체 도서관에서 ‘휴먼라이브러리’라는 사람 책 읽기 운동을 하는 모양이다. 각 분야 전문가나 유명 저자들이 독자들과 직접 만나 대화하고 질문하며 사람 책을 읽는 프로그램이다. 나도 방송을 진행하면서 매일 ‘사람 책’을 만난다. 인터뷰를 통해 그들의 인생역사를 듣고 삶이 주는 교훈을 새긴다. 사람 책을 읽는다는 것은 그 사람의 마음을 읽는 것이다.

이제 종이활자 책만 읽지 말고, 유명인사의 사람 책만 읽지 말고 가까운 사람들의 마음을 읽으려고 노력하자. 아들도, 딸도, 어머니도, 아버지도, 친구도, 선생님도, 제자도 자신의 마음을 읽어주기를 기다리고 있다. 그들의 마음을 책 삼아 읽어 보자. 나는 요즘 묵언수행 중인 아들의 입을 열려고 굳이 애쓰지 않는다. 그 시기에는 입을 열지 않도록 유전자가 형성되어 있는데 억지로 열 필요가 있을까? 그저 기다리면서 그 아이의 마음 책을 읽어 보련다.

2013-08-1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