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민 이 생각 저 생각] 비무장에서 평화생명으로

[김종민 이 생각 저 생각] 비무장에서 평화생명으로

입력 2012-08-02 00:00
업데이트 2012-08-02 01: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동서 248㎞, 남북 4㎞, 면적 992㎢로 약 3억평 크기의 비무장지대(DMZ)는 6·25전쟁의 사생아로 태어나 올해 7월 27일로 59년을 맞았다. 군사적 가치를 최우선으로 생각할 수 있겠지만 평야, 산악, 화산지대, 내륙습지, 담수·해안 생태계 등을 보유하고 있는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풀 한 포기 자라지 못하던 처참한 파괴와 살육의 불모지에 인간의 발길이 닿지 않으면서 식물과 동물이 돌아오고 불완전하게나마 생태계가 복원되고 있다. 제어된 평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DMZ의 어제, 오늘, 내일이 다양한 각도에서 논의되어 왔지만 명쾌한 해답은 없어 보인다.

이미지 확대
김종민 강원발전연구원장/전 문화관광부 장관
김종민 강원발전연구원장/전 문화관광부 장관
멀리 평강고원이 보이고 약 1100년 전 축성된 궁예도성의 유적을 눈앞에서 볼 수 있는 DMZ를 찾아 6·25 격전지 철원의 평화전망대를 며칠 전 방문했다. 작열하는 태양 아래 고지를 걸어 오르는 수고를 덜어주는 깜찍한 모노레일 창문에 쓰여진 글귀는 많은 것을 시사하고 있었다. ‘기억하라. 총성이 멎었다고 전쟁이 끝난 것은 아니다. 지키지 않는 평화는 이미 평화가 아니다.’ 이름 그대로 무장을 허용하지 않고 완충지대로 두겠다던 DMZ가 더 이상 비무장지대가 아닌 역설적 현장을 웅변하는 메시지이다. 상호 200만명 가까운 병력이 대치하며 지구상 어느 곳보다 철저하게 무장된 긴장과 갈등의 현실을 잘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60년 넘게 우리나라는 섬 아닌 섬이다. 배나 비행기를 타지 않고, 기차, 자동차, 자전거를 타거나 걸어서는 들어올 수 없는 곳이 되었다. DMZ가 있는 한 계속 섬의 처지를 면하기 어렵다. 지난 5000년 넘게 유지해온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의 중개기능에 이상이 왔다. 이대로 3세대째 내려가면 우리들의 DNA가 섬사람들의 그것처럼 변질될까 저어된다. 오랜 세월 대륙문화와 해양문화가 섞이며 빚어져 온 우리 문화의 깊은 맛에도 변화가 올 수 있다. 남북 간의 벌어져만 가는 문화적 이질화가 돌아오지 않는 다리를 건너 갈는지도 모르겠다. 나라의 이미지가 분단, 이산, 대립으로 고착되는 것이 안쓰럽다.

세계의 경제가 요동치고 나라마다 해법을 찾아 고민이 깊어만 간다. 무역 1조 달러와 국내총생산(GDP) 1조 달러를 달성하고, 세계 7번째로 ‘20-50 클럽’(1인당 GDP 2만 달러, 인구 5000만명)에 가입했다지만 우리 경제 역시 내일을 담보하기가 쉽지 않다. 시베리아와 북극권에서 속속 발견되는 화석자원, 특히 러시아의 파이프라인 천연가스는 우리 산업의 새로운 에너지 공급원으로 떠올랐다. 우리나라와 연결되는 대륙철도 TSR, 아시아 하이웨이 AH6 그리고 북극항로는 유럽 수출의 새로운 경제적 루트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 경제의 내일을 위해 대륙을 오고 가는 길의 확보는 시대의 핵심 담론으로 부상했다.

섬 아닌 섬에서 벗어나고, 대륙으로 경제의 활로를 열기 위해서 반도성의 회복을 서둘러야 한다. 그 중심에는 DMZ의 평화적 소통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60년간 지속되어온 분단의 관성을 끊고, 교착될 대로 교착된 남북관계를 푸는 것이 관건이다. DMZ의 통상·통행과 대륙가도의 개척에 왕도는 따로 없다. 상호 관심사가 되고 공동의 이익이 되는 일을 찾아 부드럽게 문화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궁예대왕은 자신이 건국한 태봉국의 왕성을 외성 12.7㎞, 내성 7.7㎞의 크기로 철원에 지었다. 많은 유물과 함께 DMZ 내 남북 4㎞에 비스듬히 걸쳐 있는 궁예도성 유적을 남북이 공동 조사·복원하는 데 합의하는 것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긴장완화와 평화공간 만들기에 기여하고, 반도성 회복의 지름길이 되며, 복원된 유적은 남북 모두에게 훌륭한 문화관광자원이 된다.

내년 7월 27일이면 DMZ는 회갑을 맞는다. 남북이 새로운 한반도 시대를 열어 나가기에 좋은 전기가 될 것이다. 문화적 접근과 함께 비무장지대 DMZ를 평화생명지대(PLZ, Peace Life Zone)로 부르며 연성화해 나가자.

전 문화관광부 장관

2012-08-02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