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eye]중학생이 생각하는 고입과 대입/허현진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아동기자단

[아이eye]중학생이 생각하는 고입과 대입/허현진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아동기자단

박재홍 기자
박재홍 기자
입력 2019-02-07 09:40
업데이트 2019-02-07 09: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허현진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아동기자단
허현진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아동기자단
나는 예비 고등학생이다. 중3 2학기 말이 되니 나를 포함해 주변 친구들은 어느 고교에 가야할지 고민하게 되었다. 특성화고, 자사고, 특목고, 일반고 등 선택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서인지 고민은 더욱 깊어졌다.

나는 일반계 고등학교를 선택했기 때문에 특목고 등을 준비하는 다른 친구들에 비해 입시에 힘든 점은 많이 없었던 것 같다. 하지만 어느 고교를 갈지에 대한 고민은 정말 많았다. 예전과 다르게 요즘에는 꼭 대학을 나온다고 해서 취업을 하고 성공을 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때문에 특성화고에 가서 전문 분야를 좀 더 일찍 배워 졸업한 후 바로 취업해 돈을 벌고 싶다는 생각도 했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일반계 진학으로 결정했다. 나의 생각을 담아낼 수 있는 글을 쓰고 싶어 ‘기자’를 꿈꾸고 있기 때문이다.

중학생의 눈으로 이번에 새로 바뀐 고교 교육 개편안에 대한 개선점을 말해보고자 한다. 문과와 이과 통합은 본인이 어느 쪽에 더 맞는 지 아직은 잘모르는 학생들에게 폭 넓게 통합된 과정을 경험하게 해 대학 학과를 선택함에 있어서 그 범위를 넓히는 장점도 있다고 본다. 하지만 진로 결정이 쉽지 않은 학생들 입장에서는 기존처럼 고1 때는 통합 교육 과정으로 공부하고 고2때부터는 문과와 이과 둘 중 성향이 더 맞는 쪽을 선택해 공부하는 것이 오히려 더 안정적일 수 있다. 고3이 되었을 때 자신의 진로에 대해 방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제대로 된 선택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2022학년도 대입 개편안에서도 말하고 싶다. 정시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 해나간다면 학교에서는 이를 위한 단순한 수업을 하게 되어 주입식 교육이 더욱 더 증가할 것이다. 학생들은 정시와 수시를 둘 다 준비를 해야 하는 부담감이 더욱 더 커지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는 변화가 있어야 한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절대평가 과목을 지금보다 더 확대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수능 수학 1등급의 원점수가 92점인데 91점을 받아 2등급이 된다면 학생은 억울할 수 있다.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1, 2점 차이로 등급을 좌지우지 하는 것 보다는 수학과 국어 과목에도 절대평가를 도입하는 게 보다 나을 것이다.

곧 고교 진학을 앞두고 있는 전국의 또래들에게 같이 힘을 내자는 말을 전하고 싶다. 조금은 멀었지만 고3이 되었을 때 자신에게 잘 맞는 길을 선택해 좋은 결과를 얻길 바란다.



*서울신문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함께 어린이, 청소년의 시선으로 사회 현안을 들여다보는 ‘아이eye’ 칼럼을 매달 1회 지면에, 매달 1회 이상 온라인에 게재하고 있습니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