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칼럼] 미국 탄핵 정국 최대 수혜자는 트럼프?/한준규 워싱턴 특파원

[특파원 칼럼] 미국 탄핵 정국 최대 수혜자는 트럼프?/한준규 워싱턴 특파원

한준규 기자
입력 2019-09-29 17:26
업데이트 2019-09-30 0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준규 워싱턴 특파원
한준규 워싱턴 특파원
미국 정가가 현직 대통령의 탄핵 추진으로 요동치고 있다. 미 백악관에 파견된 미 중앙정보국(CIA) 요원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정부에 2020년 미 대선 개입을 요청했다’는 내부 고발로 시작된 탄핵 정국의 파장이 일파만파 커지고 있다.

사실 ‘탄핵 논란’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트럼프 대통령이 부추긴 측면이 크다. 트럼프 대통령 자신이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내년 대선의 최대 라이벌인 민주당 소속 조 바이든 전 부통령 부자의 조사 압력을 가한 정황이 포함된 통화 녹취록을 공개하고, 당연히 보호받아야 할 내부 고발자를 ‘스파이’로 몰아붙이는 등 오히려 논란을 부채질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런 일종의 노이즈 마케팅 전략을 자신의 책 ‘거래의 기술’에서 자랑스럽게 언급했다. 그는 “언론은 항상 기삿거리에 굶주려 있고, 나는 소재가 자극적이면 대서특필한다는 속성을 경험했다. 논쟁이 빚어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신문이 나를 주목하게 해 내 기사를 쓰지 못해 안달이 나게 했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이처럼 논란을 즐기는 트럼프 대통령이 내년 대선을 14개월 앞두고 민주당에 맞서 정치적 승부수를 던진 것으로 풀이한다. 탄핵 정국이 모든 이슈를 블랙홀처럼 빨아들이며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층인 ‘샤이 트럼프’를 더욱 결집시킬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렸다는 것이다.

지난 24일 미 민주당의 탄핵 조사 개시 발표 이후 이틀 만인 26일 트럼프 재선 캠프 등에 1300만 달러(약 156억원)가 넘는 후원금이 모였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휘몰아치는 탄핵 광풍이 재선을 노리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오히려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블룸버그 칼럼니스트인 엘리 레이크는 ‘트럼프 대통령이 탄핵 정국을 좋아하는 이유’라는 글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오히려 자신에 대한 공세를 바이든 전 부통령의 스캔들을 부각하는 기회로 삼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워싱턴포스트는 “탄핵 절차가 진행될수록 트럼프 정부의 국정 운영에 대한 논의가 사라질 수밖에 없다”면서 “만약 민주당이 탄핵 조사에서 ‘스모킹건’을 찾지 못한다면 오히려 역풍을 맞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뉴욕타임스도 탄핵 정국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유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탄핵안이 하원을 통과하더라도 상원 통과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탄핵안 통과를 위해서는 상원(100석) 3분의2(67석)의 찬성이 필요하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 편인 공화당(51석)이 과반 의석을 차지하고 있어 사실상 상원 통과는 불가능하고 이는 탄핵 자체가 이뤄질 가능성이 거의 ‘0’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또 민주당이 탄핵에 실패한다면 오히려 유권자들의 관심과 지지를 잃게 될 수 있어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가도를 탄탄하게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앞으로 탄핵에 많은 변수가 남아 있다. 미국 내에서 탄핵 지지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폴리티코는 민주당의 탄핵 조사 결정 직전인 지난 20~22일 조사에 비해 불과 나흘 뒤인 26일 탄핵 찬성이 36%에서 7% 포인트 늘었다고 밝혔다. 반대 여론은 49%에서 6% 포인트 줄었다.

또 민주당이 탄핵 조사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직위를 이용해 선거에 개입했다’는 등 국면을 뒤흔들 스모킹건을 찾아낸다면 트럼프 대통령의 중도하차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앞으로 미 탄핵 정국이 어떻게 흘러갈지 예측하기 어렵다. 워싱턴포스트도 “탄핵이 내년 대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아무도 모른다”고 했다. 막말과 분열 정치 대가인 트럼프 대통령이 중도하차할지, 재선 타이틀을 거머쥘지를 결정할 탄핵 드라마의 결말이 궁금해진다.

hihi@seoul.co.kr
2019-09-30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