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택규의 문화 잠망경] 한중일은 접촉이 필요하다/번역가

[김택규의 문화 잠망경] 한중일은 접촉이 필요하다/번역가

입력 2022-02-20 20:36
업데이트 2022-02-21 03: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택규 번역가
김택규 번역가
요즘 아내를 보면 책과 신문의 가장 강력한 경쟁자는 유튜브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아내는 몸이 안 좋으면 의사의 채널을, 집에 하자가 생기면 인테리어 업자의 채널을 찾아 정보를 얻는다. 국내외 뉴스도 구독 신청한 몇 가지 뉴스 채널을 통해 접한다. 아내 같은 사람들에게는 레거시 미디어가 시야에서 멀리 벗어나 있다.

나도 유튜브에 들어가 검색창에 ‘중국’을 넣고 검색을 해 보았다. “호주 ‘내가 괴롭힐 차례’, 中 닥공에 ‘정면충돌’ 작전”이라는 뉴스가 화면 맨 위에 떴다. 중국의 무역 보복에 시달리던 호주가 중국에 반격을 가하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내가 괴롭힐 차례’, ‘정면충돌’ 같은 강경 발언은 그 안에 없었다. ‘일본’을 검색하니 “‘일본에 지니까 기분이 어떠세요?’ 말 같지도 않게 질문한 일본 기자를 오징어 만들어 버린 한국 선수”라는 개인 채널의 동계올림픽 뉴스가 가장 먼저 눈에 띄었다. 역시 내용과 제목이 거의 무관했다.

둘 다 자극적인 제목으로 트래픽 장사를 노리는 ‘혐오 뉴스’였다. 요즘에는 이런 뉴스가 ‘국뽕 뉴스’와 함께 유튜브 공간을 도배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아내는 요즘 부쩍 혐중, 혐일의 견해를 내비친다. “도대체 중국은 왜 우리 전통문화를 빼앗는 거야?”, “일본은 성찰이라는 걸 모르는 나쁜 민족이야”라는 식으로 화를 내면서 말이다. 그럴 때면 입을 다문다. 혐오 뉴스가 유발하는 분노가 앞서면 차분히 문제를 논의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2016년 사드 사태, 2019년 일본 수출제한조치 분쟁으로 멀어진 한국과 중국, 일본의 관계는 코로나19로 교류가 어려워지면서 한층 악화됐다. 그 증거가 바로 온라인 공간을 점령한 혐중, 혐일 뉴스이며 또 이 뉴스는 우리 국민의 혐중, 혐일 정서에 기반한다. 우리의 이런 ‘이웃 나라 혐오증’은 과연 언제나 사그라질까. 누구는 “중국이 고대사 왜곡을 중지하면”이라고 할 것이다. 또 누구는 “일본이 전쟁 범죄를 사죄하고 배상 책임을 피하지 않으면”이라고 할 것이다. 모두 맞는 말이다. 하지만 과연 언제나 그렇게 될 것이며 또 그렇게 되더라도 해묵은 혐중, 혐일 정서가 잘 해소될 수 있을까.

작년 가을, 공무원인 후배 P가 4주 격리를 무릅쓰고 장쑤성 저우산시에 가서 한중 지자체 교환프로그램에 따른 업무를 경험하고 있다. 중국인 유학생 J는 한중 양국의 무복(巫服)을 비교, 연구하겠다며 얼마 전 자료 조사차 중국에 다녀왔다. 그 바람에 겨울방학을 통째로 양국의 격리로 날렸다. 나 역시 국경만 열리면 즉시 중국에 건너가 끊긴 한중 출판교류를 재개할 작정이다.

접촉이 중요하다. 세 나라의 관계가 아무리 냉랭해도 서로를 이해하기 위한 접촉이 개별적으로 이어진다면, 그래서 세 나라가 함께할 가능성을 상상하는 이들이 계속 존재한다면 훗날 혐중과 혐일의 정서는 뜻밖에 쉽게 가실 수도 있을 것이다.
2022-02-21 29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