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한용의 구석기 통신] 우리 안의 네안데르탈인/전곡선사박물관장

[이한용의 구석기 통신] 우리 안의 네안데르탈인/전곡선사박물관장

입력 2022-06-21 20:12
업데이트 2022-06-22 02: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사람 좋게 생겼네, 상상과 많이 달라.” 얼마 전 외신에 보도된 ‘크린’(Krijn)이라는 별명을 가진 네안데르탈인의 복원된 얼굴 사진을 친구들 단톡방에 올렸을 때의 반응들이다. 네덜란드 북해 연안에서 발견된 두개골을 토대로 복원된 이 네안데르탈인 청년은 아닌 게 아니라 하얀 치아를 드러내고 순박하고도 익살스러운 표정을 짓고 있어 아직도 많은 사람에게 야수와 같은 이미지로 각인된 네안데르탈인에 대한 일반 상식을 무색하게 한다.

네안데르탈인은 1856년 독일 네안더 계곡의 동굴에서 광산 인부들에 의해 처음 발견됐다. 툭 튀어나온 눈두덩으로 보아 병에 걸려 인상을 찌푸리다 죽은 몽골 병사라는 주장이 나올 정도로 네안데르탈인은 낯설고도 위험한 존재로 인식됐다. 그래서인지 네안데르탈인의 모습을 추정해서 그린 당시의 그림들은 하나같이 털이 북슬북슬하고 커다란 방망이를 든 구부정하고 험상궂은 야수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네안데르탈인 유적들이 속속 발굴되면서 이들도 뛰어난 석기 제작자임이 밝혀지고 있다. 날카로운 돌칼과 돌창을 만들어 집단 사냥을 했던 이들은 조직적인 사냥을 위해 활발하게 소통하며 협업을 위한 계획을 짤 줄도 알았을 것이다. 상처 입은 가족과 동료를 보살피고 죽은 이들을 정성껏 묻어 주고 꽃으로 시신을 장식하기까지 했던 네안데르탈인들은 장신구도 만들고 동굴벽화까지 그렸던 것으로 보인다.

동굴 속에서 짐승처럼 기괴한 모습으로 살았던 존재가 아니라 우리 현생인류 못지않은 문화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여전히 미개하고 위험한 존재라는 인식이 많은 사람에게 남아 있는 것은 여전히 네안데르탈인에 대해 모르는 것이 많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는 잘 모르는 것에 대해서는 막연한 두려움을 갖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자연에서의 무지는 더욱 그렇다. 나홀로 산행을 하다 보면 멀쩡한 나뭇가지도 뱀처럼 보이고, 멀리서 사람 인기척이 느껴지면 나도 모르게 긴장하게 된다. 내가 잘 모르는 존재는 그래서 두려움과 혐오의 대상이다.

우리 주변에는 아직도 많은 네안데르탈인이 있다. 피부색이 다르다고, 외모가 특이하다고, 성소수자라는 이유로, 정치적 견해가 다르다고 배척당하는 그들도 알고 보면 “사람 좋네, 생각했던 것과는 달라”라는 소리를 들어야 할 우리의 이웃들이다. 지금은 사라진 네안데르탈인에 대해 알면 알아 갈수록 그들의 실체는 막연한 혐오의 대상이 아님이 분명해지고 있다. 함께 오늘을 살아가고 있는 소수자들의 생각과 현실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당위일 것이다. 서로 소통하며 조화롭게 살아가는 세상, 비록 꿈같은 세상이지만 그래도 그 꿈을 함께 꾸자고 사람 좋게 웃고 있는 네안데르탈 청년 ‘크린’이 말해 주고 있다.
2022-06-22 29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