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보상 따져 구제역 백신을 거부해선 안돼

[사설] 보상 따져 구제역 백신을 거부해선 안돼

입력 2010-12-28 00:00
업데이트 2010-12-28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구제역 확산을 막고자 정부 당국이 예방백신을 접종하고 나섰는데도 그 추세는 중단되지 않았다. 어제만 해도 인천 서구, 경기 양평, 경북 청송 등지에서 구제역 발생이 추가 확인됐다. 그 결과 피해 지역은 전국 4개 시·도, 26개 시·군, 60군데로 늘었고 이에 따른 살처분 대상 가축은 44만 마리를 넘어섰다. 그야말로 그동안 발생한 구제역 피해 규모를 모두 합친 것보다도 더한, 사상 최악의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현재 정부 당국과 각 지자체는 구제역 방지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강원 횡성군이 어제부터 주요 도로 10개 노선을 폐쇄·통제한 것을 비롯해서 발생지와 인접 시·군 간 왕래를 적극 차단한 지자체가 적지 않다. 또 전국 곳곳에서 새해 해맞이 등 각종 행사가 잇따라 취소되는 상태이다. 아울러 각 지자체는 예비비를 긴급 편성해 소독용 분사기·분무기, 살처분용 생석회 등 방역 장비·물자를 확보하느라 서로 ‘전쟁’을 벌인다고 한다.

이 같은 대혼란 속에서도 구제역 확산 방지에 가장 기대를 걸게 하는 것은 역시 예방백신 접종이다. 그런데도 일부 지역에서 축산농민들이 보상대책부터 세우라며 백신 접종을 거부하고 있다니 안타까울 따름이다. 물론 농민들의 심정은 이해한다. 백신을 맞은 소는 한달이 지나야 출하할 수 있고, 유통과정에서 접종서가 따라붙어 상품 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

그렇더라도 지금은 보상대책을 논의한 뒤 접종 여부를 결정할 만큼 여유로운 시기가 아니다. 때를 놓쳐 전국적으로 축산 기반이 무너지는 불행한 사태가 온다면 뒤늦게 보상을 잘해준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자식 못잖게 정성들여 키운 가축을 살처분할 수밖에 없던 농민들의 심정을 헤아려서라도 백신 접종에 적극 협조해야 하겠다. 정부도 축산농민들의 불안한 마음을 달래줄 보상 원칙을 하루빨리 발표해 모두가 한마음으로 구제역 차단에 매진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2010-12-28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