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녹조 원인 제대로 규명해 대책 마련하라

[사설] 녹조 원인 제대로 규명해 대책 마련하라

입력 2012-08-08 00:00
업데이트 2012-08-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강과 낙동강 수계의 녹조가 확산되면서 식수 공급을 위협하고 있다. 지난달 말 북한강과 팔당호 상류지역에서 발생한 녹조는 팔당호 하류의 잠실수중보까지 흘러든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시가 엊그제 강북·암사·구의·자양·풍납 등 잠실수중보 인근의 5개 취수원 수질을 측정해 보니 3곳이 조류주의보 발령 수준에 이른 것이 이를 뒷받침해준다. 지난 6월 말 창녕 함안보 등 하류에서 발견됐던 낙동강 녹조도 최근 대구 근처의 달성보까지 북상했다. 한강과 낙동강은 수도권과 영남권 3800만 주민들의 주요 식수원이다. 식수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대책마련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수질을 오염시키는 녹조는 폭염, 부영양화 물질 유입, 비점 오염원 유입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하지만 올여름에는 폭염 장기화로 수온이 상승하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주무부처인 환경부와 환경단체는 녹조 발생 원인을 놓고 ‘4대강 개발 때문이다’ ‘아니다’는 등 ‘진영논리’로만 일관해 아쉬움을 더해주고 있다. 환경부는 4대강 사업 이전에도 한강·낙동강에서 조류가 발생했고, 올해는 가뭄과 수온 상승으로 남조류 세포가 많이 나타난 일시적 현상이라며 4대강 방어막 치기에 급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반면 환경단체는 한강 녹조에 대해서는 별 말이 없고 낙동강 녹조에만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일례로 녹색연합은 낙동강 중류까지 남조류가 발생한 것은 8개 보로 막혀 낙동강이 거대한 호수로 변했기 때문이라며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외눈박이식 접근법은 사태해결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 국민들에게 중요한 것은 4대강 개발업적이 아니라 4대강 수질과 치수관리능력이기 때문이다. 양측은 진지한 자세로 머리를 맞대 한강이건 낙동강이건 조류 발생 원인을 종합적으로 규명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지구온난화로 기상이변이 자주 일어나는 만큼 녹조 발생은 앞으로도 더욱 잦아진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녹조 발생에 따른 식수대책을 낙동강에만 집중해 왔고 오염원이 적은 한강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해왔다. 그러나 한강수계도 안전지대가 아닌 만큼 고도 정수처리 시설을 조기에 설치해야 할 것이다.

2012-08-08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