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중 수교 20년, 동북아시대 출발점 돼야

[사설] 한·중 수교 20년, 동북아시대 출발점 돼야

입력 2012-08-24 00:00
업데이트 2012-08-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늘 한·중 수교 20년을 맞으면서 A3, 즉 한국과 중국, 일본 세 나라가 내다봐야 할 역사적 지평이 있다. 인류 문명사에서 처음으로 맞게 될 동북아 시대다. 지난 20년간 교역액이 35배 성장한 한·중 양국의 경제협력 규모나 국내총생산(GDP)에서 미국과 어깨를 견주는 G2(주요 2개국)로 부상한 중국의 성장세는 조만간 북미와 유럽연합(EU)을 제치고 동북아가 세계 최대의 경제권이 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비단 경제 부문만이 아니라 외교·안보 등 세계 정치질서와 기후변화 및 기아·질병 퇴치와 같은 글로벌 이슈에 있어서도 이들 세 나라를 빼놓고는 답을 찾기 힘들 정도로 동북아 3국의 위상은 막대해졌다.

그러나 최근 동북아에서 일고 있는 신냉전 기류는 중국과 일본이 정녕 한국과 함께 지구촌 인류를 견인해 나갈 만큼의 시대적 인식과 비전, 그에 따른 소명의식을 갖추고 있는지 곱씹어보게 만든다. 일본은 독도와 과거사에 대한 일그러진 미몽(迷夢)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스스로 국가적 자존을 갉아먹는 행태를 거듭하고 있다. 독도가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 얼토당토 않은 서한을 총리가 보내고, 이를 우리 정부가 곧바로 반송조치한 데 대해 “외교적 결례” 운운하며 제 얼굴에 연신 침을 뱉고 있다. 머리를 조아려도 모자랄 위안부 관련 박물관에다 독도가 자기들 땅이라고 적은 말뚝을 몰래 박고 달아난 일본 극우세력의 좀스러운 행태는 연민의 정마저 느끼게 한다.

그런가 하면 중국은 동북공정이라는 이름의 역사왜곡을 지금껏 멈추질 않고 있다. 고구려를 자기네 역사에 집어넣는 것도 모자라 고구려와 발해 땅의 유적까지도 만리장성의 일부라고 우기는 소아적 행태로 퇴행하고 있다. 북한인권운동가 김영환씨에게 저지른 고문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하고, 사각지대에 놓인 탈북자들의 인권도 외면하고 있다. 대북 정책에 있어서도 한·미·일과 북한 사이에서 냉탕과 온탕을 오락가락하며 제 영향력 확대에만 부심하는 듯한 모습이다.

동북아 시대는 경제지표 몇 가지로 이룩되지 않는다. 상생의 경제협력 틀을 새롭게 하고 통일한국에 대비한 외교안보 협력 체제도 공고히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당장 역사 왜곡을 끊고 공영발전의 미래를 향한 시대인식부터 갖춰 나가야 한다. 동북아 시대냐, 동북아 패권경쟁 시대냐는 그 여부에 달렸다.

2012-08-24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