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흥행 지상주의가 부른 민주 모바일 경선 파행

[사설] 흥행 지상주의가 부른 민주 모바일 경선 파행

입력 2012-08-27 00:00
업데이트 2012-08-27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통합당 대선후보 경선이 시작부터 파행의 나락으로 떨어졌다. 문재인 후보를 제외한 나머지 손학규·김두관·정세균 등 이른바 비문(비문재인) 후보 3명이 모바일 투표 방식이 잘못됐다며 경선을 거부하고 나섰고, 이로 인해 어제 울산 경선은 후보 모두가 불참하는 ‘궐석 경선’이라는 기괴한 형태로 진행됐다. 세 후보의 반발이 거세 향후 경선이 예정대로 치러질지 한치 앞도 내다보기 힘든 형국으로 치닫고 있다. 원내 128석 제1야당의 대선후보 선출 경선이라고는 도무지 믿기 힘든 어처구니없는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이들 세 후보의 주장처럼 민주당의 모바일 투표는 일단 다소간의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호 4번 문재인 후보의 이름이 불리기 전에 다른 후보의 기호를 누르고 전화를 끊으면 아예 투표를 하지 않은 것으로 처리하도록 해 다른 후보 지지표가 사표가 될 소지를 안고 있는 것이다. 저조한 투표율 속에 문재인 후보의 압승으로 그제 끝난 제주지역 경선에 이런 문제점이 작용했을 가능성도 물론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런 기술적 논란을 넘어 이번 파행 사태는 이 나라 정당의 민주주의 운용이 얼마나 취약하고 허술한지 단적으로 보여 준 실증사례라는 점에서 개탄스러운 일이다. 특히 대선후보 선출에 있어서 흥행몰이에만 몰두한 민주당 구성원들의 빈약한 정치철학이 이번 파행의 직접적 원인이라는 점에서 비난을 면하기 어렵다고 할 것이다. 후보 각자의 비전과 정책을 부각시켜 유권자들의 진지한 관심을 끌어모으려 하기보다는, 복잡한 경선룰과 이에 따른 경마식 선거로 흥미를 높이고, 이를 통해 후보 지지율을 끌어올려 보겠다는 얄팍한 정치공학이 이런 파행과 국민적 불신을 자초한 것이다.

민주당은 이미 5년 전 유령당원과 ‘박스떼기’ 대리접수 같은 조직동원 논란 속에 대선후보 경선 흥행 실패를 맛본 바 있다. 그리고 이후 대선에서 참패하고 말았다. 그때의 전철을 답습하고 있는 민주당을 보면서 대체 이들이 말하는 새정치가 무엇인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 민주당 지도부와 후보들은 대오각성해야 한다. 현명하고 바른 수습책을 조속히 내놓아야 한다.

2012-08-27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