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특검 수사에 성역도 흠집내기도 없어야

[사설] 특검 수사에 성역도 흠집내기도 없어야

입력 2012-11-07 00:00
업데이트 2012-11-07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곡동 특검이 청와대와 한바탕 갈등을 빚었다. 이명박 대통령의 아들 시형씨가 내곡동 사저부지 매입자금 12억원 가운데 6억원이 김윤옥 여사 소유의 논현동 땅을 담보로 농협 청와대 지점에서 대출받은 것이라고 진술했기 때문에 김 여사 조사가 불가피하다는 게 특검의 판단이다. 청와대는 해외 순방을 앞두고 마치 김 여사가 의혹의 당사자인 것처럼 발표한 특검에 무척 불쾌하다는 반응이다. 양측의 신경전 끝에 특검이 김 여사를 강제조사하지 않기로 정리해 그나마 다행스럽다.

거듭 강조하거니와 특검 수사에 성역이 있을 수 없다는 게 우리의 입장이다. 검찰의 수사가 부실투성이였다는 사실이 속속 드러나고 있는 터여서 특검 조사가 한치의 의혹도 남김 없이 철저히 진행돼야 한다는 당위론은 더욱 커졌다. 특검은 이 대통령의 아들 시형씨, 이 대통령의 큰형인 이상은씨, 김인종 전 청와대 경호처장 등을 소환해 조사를 벌였다.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필요하면 조사를 받아야 하고, 김 여사라고 조사대상에서 제외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특검은 이 대통령 내외가 퇴임후 생활할 사저를 아들에게 편법증여하기 위해 시형씨 명의로 사저부지를 매입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이 과정에서 증여세를 포탈할 목적이 있었는지가 김 여사 조사의 핵심인 모양이다.

특검은 성역 없는 수사와 함께 공정성 확보에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 야당이 추천한 특검이기에 공정성은 생명이다. 이 대통령 내외가 인도네시아 등 해외순방을 나서기 이틀 전에 청와대와 충분한 의견조율 없이 김 여사 조사방침을 일방적으로 발표한 것은 예우를 벗어났다는 논란을 살 만하다. 참고인 신분인 김 여사가 수사도 받기 전에 중요 피의자인 것처럼 비쳐지게 해서는 안 될 일이다. 예단과 의욕만 앞세운 수사는 논란을 증폭시킬 수 있다. 특검은 의혹의 실체를 낱낱이 파헤치면서도 불필요한 갈등과 오해를 최소화하는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2012-11-07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