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文·安, 단일화 이후 연대 구상 명확히 밝혀야

[사설] 文·安, 단일화 이후 연대 구상 명확히 밝혀야

입력 2012-11-20 00:00
업데이트 2012-11-2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후보 측이 재개한 단일화 논의에는 가장 중요한 사안이 빠져 있다. 단일화 이후, 나아가 단일후보가 대선에서 승리하면 집권세력을 어떻게 구성하고 두 사람이 어떤 관계를 설정할 것인지가 제시되지 않았고, 그럴 기미도 안 보인다. 지난 5일 내놓은 ‘국민연대’ 구상이나, 단일화 협상 중단으로 닷새간 묵혔다가 그제 발표한 새정치공동선언도 대개가 새로울 것 없는 성긴 내용들로, 대체 두 사람이 뭘 어떻게 같이하겠다는 것인지 알 길이 없다.

어제 두 후보가 제각각 언론 인터뷰와 토론회 등을 통해 보여준 엇박자는 국민들을 더 헷갈리게 한다. 그동안 대통령-국무총리 공동정부론을 제기해 온 문 후보는 한국기자협회 토론회에서 “안 후보로 단일화될 경우 공직을 맡을 생각이 없다.”며 백의종군론을 폈다. ‘문재인 대통령-안철수 총리’ 카드는 있을 수 있어도, 그 반대의 경우는 있을 수 없다는 자가당착적 발언으로 들린다. 반면 안 후보는 한국일보 인터뷰에서 “대통령-국무총리 역할분담 약속은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과거 DJP(김대중·김종필) 연대는 1년여의 논의 끝에 ‘공동정부 구성’을 국민에게 제시하고, 선택을 물은 바 있다. 반면 2002년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때는 그 어떤 논의도 없이 단일화에 임했다가 이후 물밑 협상에서 내치와 외치를 나누니 마니 하며 진통을 겪은 바 있다. ‘대선 승리 후 세력 연대’ 정도의 얼개만 내놓은 지금 두 후보의 논의는 이들 과거 두 사례의 중간쯤에 어정쩡하게 자리해 있는 상황이다.

누가 됐든 패자는 승자를 어떻게 돕겠다는 약속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단일화 이후 필연적으로 볼썽사나운 자리 나눠먹기 드잡이가 펼쳐지게 된다. 이는 두 후보의 공멸로 이어질 뿐 아니라 한국 정치를 거듭 퇴보시키는 행위가 된다. 새 정치 선언이라는 장전을 만들고, 분야별 정책을 조율한다고 연대가 완성되는 게 아니다. 단일화 이후 대선에서 승리한다면 집권세력을 어떻게 구성하고 이끌겠다는 구상을 명확히 밝히고 선택을 구해야 한다. 그것이 여론조사 등 단일화 과정에 참여하게 될지도 모를 대한민국 유권자 모두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다.

2012-11-20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