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秋·尹 충돌’, 임명권 가진 대통령이 정리하라

[사설] ‘秋·尹 충돌’, 임명권 가진 대통령이 정리하라

입력 2020-11-25 20:56
업데이트 2020-11-26 01: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윤 총장 사퇴해야 갈등 중단되나
文, 사실관계 파악해 결단 내려야

법무장관이 현직 검찰총장에 대해 정치적 중립 훼손 등을 이유로 징계를 청구하고 직무배제 명령을 내리자, 검찰총장은 직무배제명령취소 가처분신청 등 법적투쟁을 하겠다고 공언하는 헌정 사상 초유의 일이 벌어져 한국 사회에 충격을 던져 줬다. 절차적 민주주의 사회가 된 것인지, 사법만능주의가 된 것인지 알 수가 없다. 한편으로는 지난 1월 이후 진행된 추미애 장관과 윤석열 총장 간의 오랜 반목과 갈등을 이제 더는 안 봐도 될지 모른다는 희망이 생긴다.

주권자이자 유권자인 국민이 ‘이전투구’를 계속 지켜봐야 할 이유가 과연 있는가. 추 장관 취임 이후 10개월에 걸친 윤 총장과의 격한 충돌을 속수무책으로 지켜본 국민은 두 사람 간의 알력과 충돌이 진영 간 싸움에 철저하게 이용됐고, 그로 인해 국민적 열망인 검찰개혁 또한 부지하세월(不知何歲月) 마냥 늦어지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제 둘의 갈등에 대해 조속히 결론을 내려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다. 다만 윤 총장이 법적대응을 공언하고 있어 공방이 장기화할 수도 있다. 게다가 검찰 조직 또한 동요하고 있으니 걱정스러울 따름이다. 준사법기관인 검찰이 요동치면 법적 안정성이 저해되고, 그 폐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는 것 아닌가.

법무장관과 검찰총장 임명권을 갖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이 ‘오불관언’하듯 침묵하는 것은 옳지 않다. 사실관계를 조속히 파악해 윤 총장 혐의가 확실하다면 징계 절차를 거쳐 해임하는 게 마땅하다. 반대로 추 장관이 월권을 행사한 것으로 드러나면 이 또한 해임 사유로 부족하지 않다. 문 대통령은 그제 오후 추 장관의 브리핑 직전에 관련 보고를 받았지만 그에 대해 별도의 언급은 없었다고 청와대 강민석 대변인이 전했다. 하지만 사안이 엄중한 만큼 인사권자로서 문 대통령이 더이상 주저할 여유는 없다고 본다. 정부 조직 내의 비정상적 갈등과 충돌을 관료사회의 민주화로 볼 수는 없다.

윤 총장에게 적용된 혐의는 크게 6가지다. △언론사 사주와의 부적절한 접촉 △재판부 불법 사찰 △채널A 사건·한명숙 전 총리 사건 관련 감찰 및 수사 방해 △채널A 사건 감찰 정보 외부 유출 △총장 감찰 방해, △정치적 중립 훼손 등이다. 재판부 사찰 혐의를 제외하고는 직무배제 및 징계청구 혐의로는 미약하다는 평가가 적지 않다. 반면 재판부 불법사찰이 사실이고, 특히 대검이 해명한 것과 달리 단순한 평판조사가 아니라면 범죄 혐의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와대는 이와 관련된 모든 사실관계를 조속히 파악해 누구를 신임할 것인지 결단을 내려야 한다.

2020-11-26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