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광고 엿보기] 최초의 고무신 회사 대륙고무

[근대광고 엿보기] 최초의 고무신 회사 대륙고무

손성진 기자
입력 2020-11-01 17:24
업데이트 2020-11-02 03: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매일신보 1921년 2월 9일자에 실린 대륙고무 고무신 광고.
매일신보 1921년 2월 9일자에 실린 대륙고무 고무신 광고.
고무는 일본어 ‘ゴム’(gomu)를 차용한 말이다. ‘고무구쓰’(ゴムぐつ)라는 일본식 고무신은 19세기 말 국내로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한국식 고무신이 등장하기 전인 1910년대까지 일부 계층에서 일본식 고무신을 신은 것으로 추정된다. 고무구쓰와 우산 절도범을 붙잡았다는 기사가 있다(매일신보 1916년 7월 16일자). 제목이 ‘고무신과 우산’인 것을 보면 1910년대부터 고무신이라는 말이 일반화돼 사용된 것으로 여겨진다. ‘호모화’(護謨靴)라고도 불렸던 일본식 고무신은 원래 구두 모양으로 바닥창만 고무였다. 그런 고무신을 지금처럼 남자용은 앞이 넓적한 초혜(草鞋·짚신), 여자용은 코가 뾰족한 당혜(唐鞋·가죽신) 모양으로 바꿔 만들어 먼저 대박을 터뜨린 이는 이병두라는 사람이었다. 일본식 고무신을 팔러 다니던 그는 일본으로 가서 고무 배합 기술과 제조 공정을 배우고 귀국했다.

비슷한 시기인 1919년 8월 1일 서울 용산구 원효로1가에 우리나라 최초의 고무신 공장이 세워졌는데 광고 속의 대륙고무다. 주식회사 형태로 대륙고무를 설립한 사람은 구한말 외부대신과 법부대신을 지낸 이하영이었다. 친미·친러파여서 을사오적에 포함되지 않은 그는 한일병합 후 중추원 고문을 맡아 일제에 협력한 인물이다. 많은 이들이 고무신 사업에 회의적이었지만 이하영은 박영효, 윤치호, 박중양 등 재력가들을 대주주로 영입한 뒤 공장을 설립해 고무신을 만들기 시작했다. 이듬해에는 함남 원산, 경남 동래와 기장, 평남 평양 등지에도 공장을 추가로 설립하는 등 사업을 키웠다.

대륙고무는 1922년 ‘대장군’이라는 상표명을 붙인 고무신을 출시했다. 1922년 9월 21일자 광고에는 ‘대륙고무가 고무신을 출매함에 있어 이왕께서 이용하심에 황감함을 비롯하여…’라는 구절이 있다. 순종 임금도 고무신을 신었다는 뜻이다. 대륙고무는 고무공도 생산했다. 이하영의 고무신이 히트를 치자 반도고무, 중앙상공, 한성고무, 원산의 조선고무, 평양의 정창고무 등이 잇따라 설립됐다. 1937년에는 전국에 고무신 제조업체가 86개나 있었고 연간 생산량이 3119만 켤레에 이르렀다. 광복 전에는 서울고무의 ‘거북선’, 중앙상공의 ‘별표’, 천일고무의 ‘天자표’ 고무신이 가장 인기 있었다.

대륙고무는 원효로에서 중림동 155 일대로 옮겨졌다. 1936년 서울에 고무공장이 25곳 있었는데 8개가 중림동에 있었다고 한다. 중림동은 우리나라 고무공업의 중심지였던 셈이다. 대륙고무 자리에는 2000년대까지도 신발을 만드는 공장이 있었다. 지금은 중림종합사회복지관이 들어서 있다.

손성진 논설고문 sonsj@seoul.co.kr
2020-11-02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