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탐구] 마드리드로 향하는 기후변화 총회/이민호 경희대 환경공학과 산학교수

[환경 탐구] 마드리드로 향하는 기후변화 총회/이민호 경희대 환경공학과 산학교수

입력 2019-11-11 20:48
업데이트 2019-11-12 08: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민호 경희대 환경공학과 산학교수
이민호 경희대 환경공학과 산학교수
제25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5) 개최지가 이달 초에 변경됐다. 칠레 산티아고 대신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다. 회의(12월 2~13일)를 불과 한 달 남겨 놓은 시점에서 칠레 정부가 소요 때문에 포기를 발표할 때만 해도 연기 가능성이 컸다. 그러나 이틀 만에 마드리드로 변경됐다. 스페인어권 국가 간 유대의 결실일 수도 있고, 기후변화 협력 분위기가 냉각된다는 우려에 따른 연대의식일 수도 있겠다. 당사국총회는 협약 가입국들의 최고 의사결정체다. 기후변화협약의 중요한 의정서나 협정이 여기서 확정된다.

교토의정서나 파리협정도 마찬가지다. 당사국 정부대표뿐 아니라 미가입국, 시민단체·기업·금융기구·지자체·언론 등이 옵서버로 참가한다. 기후변화 이슈가 광범위하고 협약의 영향이 크다 보니 당사국총회의 규모도 어마어마하다. 1만명을 넘기는 건 예사이고 관심이 집중되는 시기에는 그 몇 배에 달한다. 2009년 코펜하겐 총회에는 2만 7000명, 2015년 파리 총회에는 3만명 넘게 참가하였다. 올해 COP25는 2만명을 넘길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대규모 회의를 불과 한 달 남기고 대체 유치한 스페인의 결정이 대단하다. 대형 회의장을 확보한다 해도 안전·숙박·교통·의전 등 하드웨어적 지원이 만만치 않다. 개최국은 그해 의장국이 되어 일년 내내 준비회의 참석, 협상 현안 조정 등 사전 작업을 이끌어야 한다. 마드리드 총회의 의장국은 칠레가 그대로 맡는다고 하니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분담이 이뤄지는 셈이다. 당사국 총회의 경제학도 존재한다. 소요 비용은 타국 및 국제기구 기여금으로 일부 충당하지만 50~70%를 개최국이 부담한다. 2015년 파리 총회에는 2200억원 넘게 들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개최 도시가 얻는 혜택도 있다. 파리시는 당시 1300억원의 경제효과를 누렸다. 눈에 보이지 않는 효과도 크다. 교토의정서·파리협정·발리로드맵 등에서 보듯 도시의 인지도 상승은 돈으로 환산하기 힘들다.

12월 마드리드 총회는 파리협정의 이행 규칙 중 남은 쟁점을 해소하는 회의가 될 것이다. 비용효과적으로 온실가스를 줄이도록 하는 ‘탄소시장’ 지침이 핵심이다. 모든 이행 규칙이 확정되면 파리협정은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게 된다. 지구 차원의 기후변화 대응에 가속도가 붙는 것이다. 우여곡절을 겪은 올해 총회가 꼭 성공해야 하는 이유다.

2019-11-12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