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회장님 책임없어지나요… 고개 숙이고 꼬리 자르고 숨어 버리면

[오늘의 눈] 회장님 책임없어지나요… 고개 숙이고 꼬리 자르고 숨어 버리면

서진솔 기자
서진솔 기자
입력 2024-02-23 03:38
업데이트 2024-02-23 03: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축구 국가대표팀의 충격적인 아시안컵 4강 탈락으로 책임론의 중심에 선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이 지난 16일 서울 축구회관에서 임원회의 결과 브리핑을 한 뒤 인사하고 있다. 정 회장은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 해임안은 수용하면서도 잔여 연봉 지급 및 자신의 거취 문제에 대해서는 애매모호한 답변으로 일관했다. 연합뉴스
축구 국가대표팀의 충격적인 아시안컵 4강 탈락으로 책임론의 중심에 선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이 지난 16일 서울 축구회관에서 임원회의 결과 브리핑을 한 뒤 인사하고 있다. 정 회장은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 해임안은 수용하면서도 잔여 연봉 지급 및 자신의 거취 문제에 대해서는 애매모호한 답변으로 일관했다.
연합뉴스
최고책임자가 꼬리를 자르고 자리를 보전하는 ‘공식’은 어김없었다. ‘결정권자’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이 초유의 선수단 몸싸움 사태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고 자문기구 뒤로 몸을 숨겼다.

두문불출했던 정 회장은 막다른 길에 다다른 뒤에야 모습을 드러냈다. 그는 지난 16일 서울 축구회관에서 임원회의 브리핑을 열고 전날 전력강화위원회가 건의한 위르겐 클린스만 한국 남자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의 경질을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그는 핵심 문제인 70억원 이상의 위약금(잔여 연봉)에 대해선 “재정적으로 기여할 부분을 고민해 보겠다”는 애매한 표현으로 얼버무렸다. 이 문제를 회의에서 거론하지 않았다면 직무 유기, 논의했다면 무책임한 발언이다.

발표 여부도 정 회장의 즉흥적인 판단에 따라 결정됐다. 협회는 회의 전날 오후 8시가 넘어서 출입기자단에 정 회장이 회의를 주재한다는 사실을 알리면서 “발표는 미정”이라고 했다. 당일 오전에도 정오에 결과를 알릴지 말지 공지한다고 밝혔고 낮 12시 30분이 돼서야 2시간 뒤 입장을 전하겠다고 했다. 책임을 져야 할 협회장의 말 한마디, 손짓 하나에 축구 팬의 ‘알 권리’가 갈 곳을 잃고 길을 헤맸다.

더 큰 문제는 새로 임명된 정해성 전력강화위원장이 정 회장의 방패인 동시에 새로 자란 꼬리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정 회장은 전술 능력에 대한 낮은 평가로 선임 반대 여론이 높았던 클린스만 전 감독과 계약을 직접 주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거취에 관한 질문에 “2018년 회장 임기를 3연임으로 제한하기 위해 정관을 변경했는데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승인하지 않았다. 이 말로 갈음하겠다”며 사퇴는커녕 4번째 선거 출마의 뜻을 밝혔다. 대신 정관 상 대표팀 감독의 결정이 아닌 추천 권한만 있는 전력강화위원회 마이클 뮐러 전 위원장을 꼬리 자르듯 협회 연구업무직으로 보냈다.

한국 축구는 조롱거리가 됐다. 다툼을 사전에 방지하거나 말렸어야 할 협회는 뒤로 숨었고, 대표팀 선수들만 ‘탁구 게이트’의 놀림거리가 됐다. 독일의 한 매체는 가상 인터뷰로 미국, 독일 등에서 대표팀 감독 업무를 수행했던 클린스만을 풍자했다. 또 클린스만은 지난달 독일 매체와 인터뷰에서 2022 카타르 월드컵 도중 정 회장을 만나 한국 대표팀의 차기 사령탑에 대해 논의했다는 일화를 소개했는데, 61명부터 후보군을 좁히는 절차를 밟았다는 정 회장의 주장과 배치돼 또 한 번 논란이 일었다.

정 회장은 위약금 문제로 시민단체로부터 고발당했다. 사법적 판단만이 유일한 잣대로 남아 사회, 정치적 논의에 근거한 자정 능력을 잃어버린 오늘날 한국의 현실을 이번 사태가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정해성 위원장이 21일 감독 선임 1차 회의 결과를 브리핑했다. 월드컵 2차 예선을 앞두고 ‘다음 대표팀 감독이 누구냐’에 이목을 집중시키고 이번 사태를 초래한 궁극적, 직접적 책임자인 정 회장의 거취에 대한 관심이 사라지기를 기대하는 모양새다. 정 회장은 또 자란 꼬리 뒤에 머리카락도 보이지 않게 꼭꼭 숨었다.

서진솔 문화체육부 기자

이미지 확대
서진솔 문화체육부 기자
서진솔 문화체육부 기자
2024-02-23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