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정은귀의 詩와 視線] 어떤 기다림/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정은귀의 詩와 視線] 어떤 기다림/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입력 2023-06-21 00:53
업데이트 2023-06-21 00: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햇볕 달구어진 너른 해변.

하얀 열기.

초록 강.

다리,

8월 내내 꼬박꼬박 졸고 있는

여름잠 자는 집에서

그을린 노란 야자나무들.

내가 붙잡았던 날들,

내가 잃어버린 날들,

딸들처럼, 웃자란 날들,

내가 안고 있는 팔들.

―데릭 월컷, ‘토바고에서의 한여름

어린 날 세계지도를 펼쳐 놓고 먼 나라의 수도를 찾는 놀이를 하곤 했다. 가보지 못한 나라를 상상하며 종이 위의 어떤 낯선 이름을 말하면 이름을 달싹이는 행위가 그 먼 나라를 가까운 경험으로 당기는 듯 괜히 신났다. 지금은 종이 지도 대신 구글 맵으로 세세한 거리 풍경까지 볼 수 있지만 그 옛날 종이 지도만큼 무성한 상상력을 주지는 않는다. 폭염주의보로 한여름이 앞당겨 선언된 날 땡볕 아래 걷다가 이 시를 떠올렸다.

데릭 월컷은 1992년 노벨문학상을 탄 세인트루시아의 시인이다. 세인트루시아는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에 있는 조그마한 섬나라다. 점점이 떠 있는 카리브해 섬나라 중에 토바고도 있다. 트리니다드토바고 나라, 세인트루시아와 베네수엘라 사이에 있다. 아마 월컷은 이 섬에서 보낸 시절의 기억이 있을 것이다. 시인은 “햇볕 달구어진 너른 해변”을 시의 시작 지점에 한 줄로 배치한 후 그 섬에서의 기억들을 간명하게 두 줄씩 살려 낸다.

하얀 열기와 초록 강, 흰 백사장 작열하는 빛과 카리브해의 청록색 물빛. 한가한 다리와 집들, 늘어진 야자나무들. 그 풍경을 직접 보지 못해도 우리는 이 시를 통해 각자가 품고 있는 한여름의 기억을 소환한다. 그 기억 속에서 우리 각자는 붙잡았다 놓친 날들을 떠올린다. 그 시절을 ‘화양연화’(花樣年華)라고 하는가? 아마도 그럴 것이다. 그 시절은 너무 빨리 지나간 달콤한 시간, “딸들처럼, 웃자란 날들”이다. 직유(simile)에 해당되는 ‘딸들처럼’이란 표현을 쓰지만,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것처럼 꼬물꼬물 귀엽던 아가들이 어느새 쑥 자라 내 품을 떠나는 시간의 마법을 생각하면 이 구절은 빗대는 말 이상으로 충분히 아름답고 아프다.

시 마지막 연의 배치가 절묘하다. 풀어서 쓰면 ‘마치 딸들처럼 내가 안고 있는 팔보다 커져서 더는 맞지 않는 날들’이란 뜻이지만 마지막 행은 여전히 내가 그날들을 놓지 못하고 있음을 말한다. 다 커 버린 딸을 놓지 못하는 아비처럼. 지났지만 지나지 않은 노스탤지어의 시간이다. 시인은 그 시간을 기꺼이 품는다. 항구(harbor)가 배를 안듯이. 이렇게 시는 향수(鄕愁)를 불투명하고 무의미한 과거가 아니라 지금의 현재를 다시 살게 하는 힘으로, 미래형의 기다림으로 끌어당긴다. 붙잡았다 놓친 날들, 그 소슬한 아픔이 새로운 기다림으로 여며진다. 올여름의 인생 공부를 초대하는 시의 시선, 시의 힘이다.
2023-06-21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