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인싸] 이용자 중심의 교통혁신 ‘기후동행카드’/손의영 서울시 버스정책시민위원장

[서울인싸] 이용자 중심의 교통혁신 ‘기후동행카드’/손의영 서울시 버스정책시민위원장

입력 2024-02-02 03:28
업데이트 2024-02-02 03: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시내에서 지하철과 버스, 따릉이까지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 시범 사업이 지난달 27일 시작됐다. 기존 정기권이나 교통카드 할인의 성격을 넘을뿐더러 따릉이까지 포함해 교통 이용 범주를 확대한 신규 서비스가 나타나면서 학계와 업계에서도 수도권 대중교통 흐름의 판도에 가져올 변화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서울시는 2004년 7월 버스와 지하철 개혁을 통해 통합환승할인, 교통카드, 중앙버스전용차로 등 다양한 정책을 도입하며 전 세계 도시에서 1등 품질의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이용자 입장에서는 요금제의 선택지가 많지 않아 다소 아쉬움이 있었다. 다른 선진국에서는 이미 다양한 정기권 정책이 활발하게 도입되고 있는 만큼 우리 역시 글로벌 추세에 맞춘 정기권 도입 필요성이 꾸준히 거론돼 왔다. 기후동행카드는 1개월 정기권으로 수단을 확대하고 할인 혜택폭을 넓혀 상시적 이용자의 이용금액을 낮췄기에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고 대중교통 탑승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의미가 크다.

영국, 프랑스, 독일, 체코, 헝가리 등 대중교통 활성화에 나서고 있는 세계 도시를 보면 오래전부터 1일, 1주일, 1개월 등 다양한 교통 정기권을 도입해 왔다. 세계적 수준의 서울 교통 인프라를 생각해 보면 기후동행카드를 시작으로 선보이는 통합 정기권 도입은 오히려 늦은 것이 아닌가 할 정도다. 경제학적 이론 측면에서도 대량소비하는 사람에게 할인을 제공하는 것은 서비스 이용의 충성심을 높일 수 있으므로 당연히 고려됐어야 할 정책이다. 특히 ‘무제한 이용’ 혜택을 통해 붐비지 않는 시간대에 지하철과 버스 이용을 유도하는 정책은 교통시설의 효율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승용차 이용도 감소시켜 교통혼잡 완화도 일부 기대해 볼 만하다.

그렇기에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선보이는 기후동행카드에 주목할 수밖에 없다. 특히 이러한 통합 정기권이 출범하기까지는 무수한 어려움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운영 기관의 적자 누적, 요금 체계의 개발, 지자체마다 다른 교통환경까지 기존의 정책을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대도시의 교통 운영에는 많은 부담이 따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후 대응과 대중교통 분야의 공동 대응이 전 세계적 트렌드인 상황에서 서울시가 선도적으로 정책 결정을 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앞으로 시범 사업을 진행하면서 효과를 분석하고, 나은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세대별, 기간별 등 다양한 옵션 상품 도입 등이 검토된다면 더 좋을 것이다.

핵심은 수도권 지역의 기후동행카드 이용 확대다. 수도권으로 무제한 대중교통의 선택권을 넓힌다면 시민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민생 지원책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용자 중심의 정책 방향을 생각한다면 수도권으로의 확대는 선택이 아닌 필수임이 자명하다.

이미지 확대
손의영 서울시 버스정책시민위원장
손의영 서울시 버스정책시민위원장
2024-02-02 25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