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친정 나들이/이동구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친정 나들이/이동구 수석논설위원

이동구 기자
입력 2020-04-26 22:20
업데이트 2020-04-27 0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가에 대한 기억은 그리 많지가 않다. 주위 사람들이 외할머니, 외삼촌, 이모 등 외가에 대한 추억들을 이야기할 때면 부러운 듯 듣기만 한다. 너무 늦게 태어난 탓에 그분들의 다정한 모습을 볼 수 없었기 때문에 기억할 만한 추억거리도 거의 없다.

한 분, 몇 해 만에 찾아봬도 다정히 반겨 주시던 외숙모의 구수한 입담과 손맛 등은 어렴풋하게나마 기억에 남아 있다. 솔가지와 함께 쪄 주시던 송편과 약과. 모깃불을 피운 채 잠들었던 외갓집 평상과 마을 입구의 개울가, 커다란 느티나무가 늘어선 오솔길 등이 기억의 전부다. 외숙모의 다정한 모습도 외가 마을의 정감 어린 옛 모습도 이젠 희미해져 간다.

아내가 친정에 다녀온다며 아침부터 분주히 움직인다. 화장도 옷매무새도 평소보다 정성스럽다. 말씨와 표정도 봄볕처럼 부드럽고 유쾌하다. 기차 시간에 늦을까 노심초사다. 빈손으로 가지 말라며 슬쩍 관심을 보이니 어린아이처럼 좋아한다. 불현듯 부러운 생각이 든다. 멀리 떨어져 지내도 늘 뵙고 싶은 부모님이 한 분이라도 계시니 언제라도 친정 가는 일이 저렇게 즐겁겠지? 이미 10여년이 훌쩍 넘은 고애자(孤哀子)의 서글픔이 밀려든다. 봄볕이라 그런지 그리움은 더욱더 가슴을 아리게 한다.

yidonggu@seoul.co.kr

2020-04-27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