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천천히, 조금 모자라게

[길섶에서] 천천히, 조금 모자라게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24-09-02 03:28
수정 2024-09-02 03: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시간의 효용으로 따지자면 나는 덜떨어진 사람이다. 굳이 꼬투리째 망에 담긴 풋콩을 사서 깐다거나, 비좁은 베란다에 굳이 돗자리를 펼쳐서 나물을 말린다거나, 잎사귀 달린 고구마순을 사다가 굳이 껍질을 벗긴다거나.

굳이 덤벼드는 일들은 손끝으로 다독거리는 일들이다. 손톱 밑에 거뭇한 풀물이 들었다가 옅어지는 동안 나는 가득차서 어깨가 펴진다.

바람은 소슬해지고 볕은 가슬거리는데 빨래가 널린 집이 없다. 전기로 들볶아 말리는 일은 말로 퍼주고 되로 받자는 시시한 일 아닌가. 햇볕에 매달리지 않는 삶은 그래서 득의만만한가.

효용의 꺼풀 뒤에서 감각의 속살들은 얼마나 무뎌지고 있는지. 콩꼬투리를 손으로 열면 제 품에 꼭 안고 있던 봄비 소리, 여름의 천둥 소리를 쏟아내는데. 햇볕 아래 묵나물을 말리면 꼭대기까지 차올랐다가 꼬리를 거두는 태양의 이력을 날마다 알아차리는데.

덜떨어진 사람으로 나는 살겠다. 고단한 양말짝들을 마당 가득 널고 온종일 햇볕의 기색이나 살피면서. 누가 퍼가는 것도 아닌데, 늦여름의 잔양이 아까워 벌벌 떨면서.
2024-09-0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