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하굣길의 중국인 유학생

[길섶에서] 하굣길의 중국인 유학생

박성원 기자
박성원 기자
입력 2024-10-08 23:52
수정 2024-10-08 23: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며칠 전 서울의 한 명문대 앞 정류소에서 대학원생으로 보이는 학생 3명이 차에 올랐다. 중국인 유학생들인 듯했다. 한국교육개발원(KEDI)에 따르면 지난해 외국인 유학생 수는 16만 6892명으로 코로나19가 발생했던 2020~2021년을 제외하곤 매년 꾸준히 늘고 있다. 며칠 전 오세훈 서울시장이 ‘다문화사회 외국인정책 혁신토론회’에서 했던 말이 떠올랐다. “글로벌 인재와 인력의 유입을 촉진하기 위해 현재의 선별적 이민제도에서 ‘포용적 이민제도’로 전환해야 한다.”

그런데 한국에 유학했거나 국내 연구소에 근무했던 중국인들 가운데 최신·첨단 기술을 익힌 뒤 돌연 귀국해 중국의 연구지원 사업에 참여하는 기술유출 사건이 잇따른다는 소식도 있다. 일부 중국인 유학생이나 교수들은 친분을 쌓은 한국 전문가나 교수들에게 중국행을 권유하는 인재 유출의 길잡이 역할도 한다는 것. 내가 마주친 학생들은 한국에서 좋은 공부 많이 하고 예서 뿌리 내릴 수 있으면 좋겠다. 기술유출 걱정 없게 부디 학문과 소양을 잘 챙겨 돌아가기를 바라 본다.
2024-10-09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의 축의금 얼마가 적당한가?
결혼시즌을 맞이해 여기저기서 결혼소식이 들려온다. 그런데 축의금 봉투에 넣는 금액이 항상 고민이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직장동료의 축의금으로 10만원이 가장 적절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그러면 교류가 많지 않고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에게 여러분은 얼마를 부조할 것인가요?
1. 10만원
2. 5만원
3. 3만원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