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취재윤리/안미현 논설위원

[씨줄날줄] 취재윤리/안미현 논설위원

입력 2013-07-30 00:00
업데이트 2013-07-3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80년대 프리랜서 사진기자 케빈 카터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네클리스’를 처음 목도하고 엄청난 충격에 사로잡힌다. 네클리스는 휘발유를 채운 타이어를 목에 걸게 한 뒤 불을 붙여 죽이는 공개처형 방식이다. 몇 년 뒤 케빈은 이렇게 썼다. “나는 사람들이 하는 짓을 보고 놀랐고, 이런 현장에서 내가 하는 일에 대해 한 번 더 놀랐다. 사람들은 내가 촬영한 사진들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사진은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 주었다. 이렇게 충격적인 현장에서 목격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은 꼭 형편없는 일이라고만 치부할 수는 없다.”

1990년대 케빈은 내전이 한창인 수단으로 향하던 중 기도하듯 땅바닥에 엎드린 소녀를 발견했다. 소녀의 뒤에는 독수리 한 마리가 앉아 있었다. 셔터를 눌렀다. 먹을 것을 갈구하는 듯한 소녀와 ‘먹잇감’이 죽기를 기다리는 듯한 독수리의 조용한 응시…. 미국 뉴욕타임스는 1993년 3월 이 사진을 1면에 실었다. 그 어떤 말보다 전쟁의 참상을 소름 돋치게 포착한 사진 앞에서 전 세계는 전율했다. 셔터를 누르기 전에 소녀를 구해야 했다는 비판여론도 동시에 들끓었다. 논란 속에 이 사진은 이듬해 퓰리처상을 안았다. 퓰리처상을 받아든 몇 달 뒤 케빈은 차 안에 가스를 틀어놓고 서른 넷의 짧은 생을 마감했다. 자살 이유를 두고는 지금도 주장이 분분하다.

KBS가 성재기 남성연대 대표의 투신 장면을 촬영한 것을 두고 시끌시끌하다. 성 대표는 지난 25일 남성연대 홈페이지에 “남성연대 부채 해결을 위해 1억원만 빌려달라. 내일 한강에서 뛰어내리겠다”는 글을 올린 뒤 실제 뛰어내렸다. 사흘이 지난 어제 시신이 발견됐다. KBS 측의 해명에 따르면 “취재팀이 마포대교에 도착해 보니 성 대표가 보이지 않아 경찰에 신고했고 그 뒤 한 남자가 다리 난간에 매달려 있다는 제보를 받고 그곳으로 달려갔지만 순식간에 뛰어내렸다”고 한다. 말릴 틈이 없었다는 것이다. 이 장면이 찍힌 또 다른 사진을 보면 남성연대 측 관계자로 보이는 두명도 촬영을 하고 있어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지 못했던 것 같기도 하다. ‘소녀와 독수리’에 빗대 촬영기자를 비난하는 목소리도 있지만 그보다는 촛불시위는 외면하면서 ‘자살 퍼포먼스’ 예고 현장에는 득달같이 달려가게 한 KBS의 제작 태도가 더 난타당하는 양상이다. 하지만 이 모든 논란에 앞서 우리 사회의 불감증이 더 마음에 걸린다. 많은 이들이 성 대표가 투신을 예고했을 때 ‘쇼’쯤으로 치부했다. “자살하려는 게 아니다. 살아 나올 자신이 있다”는 말을 너무 안이하게, 냉소적으로 받아들였던 것은 아닌지….

안미현 논설위원 hyun@seoul.co.kr

2013-07-30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