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학자 최장집을 ‘한국 정치학의 거두’ 정도로 간결하게 표현할 수는 없을 듯하다. 지난 2008년 고려대 교단을 떠나기까지 30년 남짓 ‘한국현대사’(1985년)를 시작으로 ‘한국민주주의 무엇이 문제인가’(2008년)에 이르기까지, 아니 은퇴 뒤에 쓴 ‘노동 없는 민주주의의 인간적 상처들’(2012년)에 이르기까지 20여권의 한국정치 서적과 100여 편의 국내외 논문을 펴내며 남들이 쫓아오지 못할 만큼 왕성하고 치열한 학문적 활동을 벌여 온 이력과 업적만으로 그를 설명할 수는 없을 것이다.
2010년 6월 프레시안 인터뷰를 통해 밝혔듯 그는 한국 민주주의의 감시견이었다. 엄혹한 시절 어깨띠를 두르고 거리로 나서는 대신 저술과 강연, 언론 인터뷰를 통해 대중과 소통하며 한국의 민주주의를 비판하고 제언했다. ‘진보적 자유주의자’를 자임하는 그는 ‘노동자를 대변하는 정당’을 강조하면서도 마르크시스트 말고 마키아벨리스트가 되라고 외쳐 왔다. 현실에 발을 디딘 실용정치를 역설했다. 어느 정파와도 편먹지 않았고 시류를 좇지 않았다. 보수와 진보는 그런 그가 늘 고마웠고, 아쉬웠다.
1998년 김대중 대통령의 정책자문위원장을 맡으면서 그는 보수 진영의 표적이 됐다. 월간조선과 이른바 ‘최장집 사상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다음 정권인 노무현 정부 들어서는 외려 진보의 표적이 됐다. 철저한 대의민주주의 신봉자였던 그가 누구보다 앞장서서 노 정부를 혹독하게 비판하자 진보 진영은 ‘변절’ 운운하며 그를 몰아붙였다. 뒤이어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뒤로는 그가 대통령과 대학 동문인 까닭에 비판의 칼날이 무뎌졌다는 소리까지 들었다.
지난 5월 안철수 캠프에 전격 합류해 보·혁 진영 모두를 놀라게 한 그가 불과 석 달도 안 된 오늘 정치인 안철수와 결별한다고 한다. 또 한 번 충격이다. 기성정치를 뛰어넘을 차세대 리더군의 역할을 누구보다 강조하고 소망해 온 그다. 고도(Godot)를 기다리는 블라디미르의 심정으로 아직도 미완에 머물러 있는 한국의 민주주의를 안타까워해 온 그다. 까닭은 모르겠으나 결별은 적어도 그에게 안철수는 고도가 아님을, 아니 고도를 함께 기다려 줄 에스트라공이 아님을 뜻하는 듯하다.
안철수의 ‘한때 멘토’였던 김종인은 새누리당으로, 윤여준은 문재인에게 갔다. 대선 때 영입한 이헌재와는 ‘잘못된 만남’이란 비난 속에 금세 손을 놓아야 했다. 이들 모두 몇 달을 함께하지 못했다. 무엇이 문제인가. 최장집을 붙잡네, 마네 하기 전에 자신에게 던져야 할 안철수의 근본적 질문이다.
진경호 논설위원 jade@seoul.co.kr
2010년 6월 프레시안 인터뷰를 통해 밝혔듯 그는 한국 민주주의의 감시견이었다. 엄혹한 시절 어깨띠를 두르고 거리로 나서는 대신 저술과 강연, 언론 인터뷰를 통해 대중과 소통하며 한국의 민주주의를 비판하고 제언했다. ‘진보적 자유주의자’를 자임하는 그는 ‘노동자를 대변하는 정당’을 강조하면서도 마르크시스트 말고 마키아벨리스트가 되라고 외쳐 왔다. 현실에 발을 디딘 실용정치를 역설했다. 어느 정파와도 편먹지 않았고 시류를 좇지 않았다. 보수와 진보는 그런 그가 늘 고마웠고, 아쉬웠다.
1998년 김대중 대통령의 정책자문위원장을 맡으면서 그는 보수 진영의 표적이 됐다. 월간조선과 이른바 ‘최장집 사상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다음 정권인 노무현 정부 들어서는 외려 진보의 표적이 됐다. 철저한 대의민주주의 신봉자였던 그가 누구보다 앞장서서 노 정부를 혹독하게 비판하자 진보 진영은 ‘변절’ 운운하며 그를 몰아붙였다. 뒤이어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뒤로는 그가 대통령과 대학 동문인 까닭에 비판의 칼날이 무뎌졌다는 소리까지 들었다.
지난 5월 안철수 캠프에 전격 합류해 보·혁 진영 모두를 놀라게 한 그가 불과 석 달도 안 된 오늘 정치인 안철수와 결별한다고 한다. 또 한 번 충격이다. 기성정치를 뛰어넘을 차세대 리더군의 역할을 누구보다 강조하고 소망해 온 그다. 고도(Godot)를 기다리는 블라디미르의 심정으로 아직도 미완에 머물러 있는 한국의 민주주의를 안타까워해 온 그다. 까닭은 모르겠으나 결별은 적어도 그에게 안철수는 고도가 아님을, 아니 고도를 함께 기다려 줄 에스트라공이 아님을 뜻하는 듯하다.
안철수의 ‘한때 멘토’였던 김종인은 새누리당으로, 윤여준은 문재인에게 갔다. 대선 때 영입한 이헌재와는 ‘잘못된 만남’이란 비난 속에 금세 손을 놓아야 했다. 이들 모두 몇 달을 함께하지 못했다. 무엇이 문제인가. 최장집을 붙잡네, 마네 하기 전에 자신에게 던져야 할 안철수의 근본적 질문이다.
진경호 논설위원 jade@seoul.co.kr
2013-08-1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