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이아고와 김재규/박록삼 논설위원

[씨줄날줄] 이아고와 김재규/박록삼 논설위원

박록삼 기자
입력 2020-01-29 21:58
수정 2020-01-30 02: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셰익스피어의 비극 ‘오셀로’의 주인공은 당연히 오셀로다. 아프리카 무어인으로서 베니스의 용병이면서도 전쟁 영웅이었던 오셀로는 사랑과 질투 등 욕망에 범벅이 된 인물이다. 자신의 부하 이아고가 꾸민 계략에 사로잡혀 부인을 죽이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이아고 역시 질투와 복수심에 사로잡혀 악의 본성을 여과 없이 드러내는 중요한 조연이며, 결국 교수형에 처해지는 또 다른 비극적 인물이다.

개봉 일주일 만에 누적 관객 400만명을 바라보는 영화 ‘남산의 부장들’은 비극적 서사를 담고 있다. ‘남산의 부장들’이 400여년 시간의 간극과 함께 유럽과 한국이라는 지리적 공간을 뛰어넘어 셰익스피어의 비극 속 이아고를 호출한 것은 총에 맞은 대통령, 대통령을 쏜 뒤 사형당한 부하라는 관계를 감안하면 얼핏 절묘한 비유처럼 보인다. 하지만 영화는 1979년 10월 26일 사건을 곧이곧대로 재구성하는 듯하면서도 실상은 역사 해석을 둘러싸고 절묘한 줄타기를 계속한다. 영화는 중앙정보부장 김재규가 개인적 동기로 암살했다는 뉘앙스로 묘사하면서도 곳곳에서 민주주의에 대한 최소한의 신념을 가진 인물로 암시한다.

영원할 것만 같던 유신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우던 1979년 당시 대통령 박정희의 죽음은 한국 현대사의 변곡점이었다. 처음엔 독재 상층부의 권력 다툼으로만 여겨졌고 박정희 정권을 이은 또 다른 군부정권이 등장해 때때로 간과되기는 했지만, 그 변곡점을 만들어 낸 힘은 그해 10월 있었던 ‘부마항쟁’과 같은 자유와 민주주의에 대한 강렬한 국민의 지향에 있었음을 부정할 수 없다. 김재규가 그날 궁정동에서 ‘박통’에게 총을 쏜 것이 개인적 욕망에 눈먼 ‘이아고적 행동’이었는지, 민주주의를 열망하는 ‘시대정신의 대리자 역할’이었는지 40년이 지난 지금껏 평가는 엇갈린다. 누군가는 그를 ‘의사’로 높게 평가하는가 하면, 누군가는 ‘대통령 시해범’쯤으로 치부한다.

부질없는 가정을 해 본다. 김재규가 아닌, 부마항쟁의 결과로 유신정권이 무너졌다면 어땠을까. 경호실장 차지철의 말처럼 탱크로 밀어붙여 200만, 300만의 희생을 치렀을까. 1980년 광주항쟁의 비극은 없었을까. 시민들에 의한 민주주의가 진행됐더라면 전두환처럼 권력을 탐하는 정치 군인은 비빌 자리가 없었을까. 최소한 2020년 서울 광화문 복판에서 태극기와 성조기 흔들어 대며 ‘불쌍한 영애님’ 운운하는 이들은 줄어들지 않았을까. 고무적인 건 15년 전 똑같은 소재를 영화로 만든 ‘그때 그사람들’은 상영금지 가처분 신청 등으로 한바탕 홍역을 치렀지만, 이번에는 그런 일은 벌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우리 사회가 성숙해지긴 한 걸까.

youngtan@seoul.co.kr

2020-01-3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