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나카모토 사토시/박홍환 논설위원

[씨줄날줄] 나카모토 사토시/박홍환 논설위원

박홍환 기자
입력 2021-11-15 20:14
업데이트 2021-11-16 02: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트코인은 매우 낮은 비용으로 돈을 교환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 세계 최초이자 시가총액 최대 규모의 가상화폐인 비트코인의 공식 홈페이지 첫 번째 문장은 이렇게 시작한다. 2008년 10월 인터넷에 비트코인이 처음으로 등장했을 때 창시자로 알려진 나카모토 사토시(中本哲史)는 A4용지 9쪽 분량의 비트코인 논문을 발표했다. “완벽한 전자화폐 시스템은 온라인을 통해 일대일로 직접 전달할 수 있다. 이 과정에 금융기관은 필요하지 않다.” 금융 기득권에 대한 반감, 일대일(peer to peer) 거래, 익명성 등 가상화폐를 관통하는 3대 키워드가 담겨 있는 그의 글은 리먼브러더스 사태로 기존 금융기관들의 신뢰가 바닥으로 추락한 글로벌 금융위기 시국에 세계인들의 주목을 받기에 충분했다.

그로부터 13년. 처음 등장했을 때 아메리카노 한 잔 값도 안 되던 1비트코인의 가치는 현재 8000만원을 오르락거린다. 1비트코인의 가치가 최소 1억원, 최대 10억원 이상에 이를 것이란 전망도 이젠 낯설지 않다. 채굴 한계를 2100만 비트코인으로 한정해 놓은 희소성에 더해 달러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자산 가치로서의 유망성이 더해지면서 기대 가치가 더욱더 커지는 양상이다.

비트코인의 가치가 상승하는 것과 비례해 나카모토 사토시의 정체에 대한 관심 또한 커지고 있다. 그는 최초의 논문 발표 후 2년반 만인 2011년 4월 홀연히 사라져 버려 신비감을 더했다. 몇 년 전에는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 창업자이자 우주탐사기업 스페이스X 최고경영자인 일론 머스크가 실제 나카모토 사토시라는 설이 퍼지기도 했으나 그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나카모토 사토시가 개인이 아닌 실리콘밸리에서 활동하던 특정 그룹의 필명이라는 얘기도 회자된 바 있지만 그것도 확실하지 않다.

나카모토 사토시의 정체에 대한 궁금증이 더욱 커질 수밖에 없는 이유는 그가 갖고 있는 막대한 분량의 비트코인 때문이다. 그는 최초 논문 발표 후 110만 비트코인을 채굴해 보관하고 있다고 했는데 현재 가치로 700억 달러(약 82조원)에 이른다.

미국의 컴퓨터 보안전문가 데이비드 클라이먼의 유족은 클라이먼이 나카모토 사토시라는 가명을 사용한 비트코인의 공동 창시자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면서 호주 출신 프로그래머 크레이그 라이트가 또 다른 나카모토 사토시라며 그를 상대로 비트코인 110만개의 절반을 반환하라고 소송을 제기했고, 미 플로리다에서 재판이 열리고 있다. 세계를 뒤흔들고 있는 가상화폐의 선지자인 나카모토 사토시의 정체가 이번에야말로 드러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박홍환 논설위원 stinger@seoul.co.kr
2021-11-16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